EZ EZViwe

“우유, 소비자 물가인상 주범 몰지말라”

우유와 무관한 소비재 ‘때 노린’ 가격인상 발표에 난감한 낙농업계

이동일 기자  2013.08.19 13:34:47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제과 제빵업계 원료 대부분 수입 유제품 사용
연관없는 두유까지 덩달아…‘어불성설’ 지적

 

우유가 최근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원유가격연동제로 인한 우유가격인상이 발목을 잡히면서 유업체들은 매우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일부 관계자들은 유독 우유에 대해서만 강한 잣대를 들이댄다며,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한다.
우유는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다양한 소비재의 원료이기 때문에 우유가격 인상은 연쇄적 물가인상을 야기한다는 주장이다.
당초 유업체들도 흰 우유가격 뿐 아니라 발효유, 치즈 심지어 두유 등의 가격 인상을 발표했었고, 제과제빵 등 관련업체들의 가격인상 또한 예상됐다.
물가인상의 주범으로 몰리면서 낙농업계는 난감한 입장이 됐다. 특히, 낙농가들은 생산비 상승으로 인한 유대인상이 소비자물가를 높이는 원인이 됐다는 걱정에 마음 놓고 웃지 못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우유가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활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 과장된 부분도 있기 때문에 명확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유값 인상에 편승해 가격을 올리려는 제품 중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가 국내산 우유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량이 극히 적은 제품들이라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우유가 활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산 보다는 수입유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유가격 인상을 이유로 수입유제품을 활용하거나 심지어는 전혀 관련이 없는 제품의 가격까지 올리면서 우유를 물가인상의 주범으로 모는 것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유업체들도 국내산 우유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치즈나 두유까지 가격을 올리는 것은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유제품 관련 통계에서도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하다.
국내 전체 유제품 공급량은 지난해 말 현재 국내 생산 211만698톤, 수입 141만4천400톤으로 모두 352만5천98톤이다. 국내 생산량의 비율이 전체 유제품 공급량의 60%에 불과하다. 또한 이 같은 국내 생산원유의 80%가 시유다.
따라서 국내 원유 가격 인상이 타 식료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한편 일부 유업체는 소비자단체의 압박에 제조원가를 공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