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육현황 투명공개로 불신해소 제안…기업도 ‘공감’
기업자본 양돈에 대한 일선 농가들의 반감이 확산되자 정부가 중재에 나섰다. 정부가 꺼내든 카드는 ‘기업공개’ 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계열화사업 형태로 양돈업에 진출한 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농가의 기업자본 양돈진출 규제 요구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는 한편 그 해법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는 농축산부 김종구 축산경영과장과 박홍식 서기관, (주)선진 이범권 대표, 팜스코 정학상 대표, 이지바이오 조창현대표가 참석했다. 농축산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현행법상 기업의 양돈진출이 자유로울 뿐 만 아니라 상당시간 사업이 진행돼온 만큼 법적규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기존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다만 뿌리깊은 농가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 한 기업자본 양돈에 대한 논란과 반발이 반복될 수 밖에 없는 만큼 해당기업 차원에서도 특단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농축산부의 한관계자는 “기업자본 양돈업에 대한 농가 반감은 사실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적지 않다”며 “기업의 영업기밀은 제외하더라도 농가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내용을 공개하고, 양돈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함으로써 상생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는 정부 입장을 (기업들에게)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들도 공감, 최대한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다.
정확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이날 정부와 기업대표들은 사육 및 생산현황은 물론 향후 지분참여를 포함한 농장인수 계획까지 정부가 마련한 투명한 방법을 거쳐 생산자단체에 공개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이 불가피한 농장의 경우 기업이 아닌 양돈농가에서 우선적으로 인수할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자는 것이다. 기업 보유기술과 정보의 농가공유와 함께 돼지가격 안정을 위한 기업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해서도 공감이 이뤄졌다는게 참석자들의 전언이다.
농축산부는 이날 간담회 결과를 생산자단체와 나머지 기업들에게 전달. 세부실행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어서 이들의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