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협 “산업 전체의 문제”
육계인 대토론회서 논의키로
육계농가들 사이에서 사육경비가 현실화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지급되는 위탁사육 수수료 중 깔짚비, 약품비, 상차비, 전기세 등이 현실적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아 추가비용이 발생, 이를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일부 계열사에서 사육비 인하 방침을 세운 것과 관련된 것으로 사육비 인하에 앞서 현실에 맞는 사육경비 지급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충남의 한 농가는 “계열화 업체도 어려움이 많이 있는 것을 이해하지만 농가들이 부담하는 추가비용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며 “현실적으로 맞는 위탁사육 수수료 기준을 마련한 후 사육비 인하를 논의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특히 사육비 인하 및 사육경비 현실화 문제는 농가협의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는 계열화 업체의 사육농가들이 문제들을 제기했다. 농가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는 계열화업체 측은 사육비 지급 문제는 항상 농가와의 협의를 거쳐서 진행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계열화업체의 한 관계자는 “사육비 지급 문제는 매년 농가협의회와의 협의를 거쳐 농가와 회사 입장의 접점을 찾아 타협하며 회사에서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사례는 없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양계협회는 이를 사육비 인하를 결정한 업체 뿐만의 문제가 아닌 육계산업 전체의 문제로 보고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양계협회 이홍재 부회장은 “최근 사육비 인하를 결정한 회사가 일부 나오면서 다른 계열화업체의 사육비를 인하하려는 움직임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같은 사례의 피해농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축산박람회 기간동안 열리는 육계인 대토론회 자리를 통해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사육비 인하가 농가협의회가 없는 업체에서 이뤄졌다는 점을 지적하며 하루빨리 협의회 구성이 마무리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홍재 부회장은 “농가협의회가 없는 계열화업체의 경우 회사에서 농가들의 서명을 받아 진행했다고 하지만 반발이 심한 것도 사실”이라며 “농가들 스스로의 권익을 찾기 위해선 농가협의회의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