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오리의무자조금 도입 ‘오리무중’

오리협, 1차 자조금관리위…장기불황으로 시행 난항

이희영 기자  2013.09.25 10:40:26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희영 기자]

 

임의자조금사업 집행도 미지수

 

오리업계가 오리의무자조금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오리산업 침체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오리협회(회장 이창호)는 지난 13일 대전 유성호텔에서 2013년도 제1차 오리자조금관리위원회<사진>를 개최했다.
오리협회는 금년 중 의무자조금 도입을 위해 추진해 왔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오리산업 불황으로 인해 시기가 늦춰지고 있다.
특히 의무자조금 도입에 앞서 현재 시행 중에 있는 임의자조금마저 업계의 어려움으로 인해 금년도 사업 대부분을 시행조차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리협회는 올해 농가 거출금 4억여원을 비롯해 총 8억원의 자조금 사업계획을 세웠지만 8월 31일 현재 거출액은 4천여만원에도 못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오리협회는 회원업체들에게 자조금 납부를 독려하고 있지만 장기불황으로 인해 자조금 납부 여력이 떨어져 금년도 사업 대부분을 집행 조차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의무자조금 추진에도 난항을 겪고 있다. 계열업체들의 오리자조금 거출을 담당해야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자칫 시작도 하기 전에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편 오리협회는 의무자조금 도입을 위해 전국 오리사육수수와 농가수를 기준으로 50명의 대의원을 배정했으나 일부 지역에 편중돼 있다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대의원 50명 중 사육수수와 농가수가 가장 많은 전남지역에 절반에 가까운 22명이 배정됐으며 전북이 10명, 충북 6명, 경기와 강원이 각 4명, 충남 2명, 강원과 경북이 1명씩 배정됐다.
이처럼 일부 지역에 대의원 편중이 심하다보니 오리산업 특성에 맞는 대의원 배정 기준을 개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