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구조 개선 시범사업 녹색계란 자금난 문제 제기
계란의 안정적인 수급조절을 위해 난가공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한양계협회는 지난달 26일 대구 EXCO회의실에서 채란인 토론회<사진>를 개최하고 각종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유통구조 개선 문제와 수급조절 문제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특히 최근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광역유통센터 형식으로 시범운영 중인 전남 녹색계란과 관련한 논의도 이뤄졌다. 녹색계란은 계란유통 상인들이 농장이 아닌 유통센터에서 집하토록 하고 있는데 운영자금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녹색계란 관계자는 토론회에서 “현재 광주전남 계란유통협회와 MOU를 체결해 운영하는 것으로 사업계획을 잡고 있고 상인들도 많은 협조를 약속했지만 문제는 운영자금”이라며 “앞으로 많은 논의를 거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수급조절 문제에 관해서는 법적인 제약보다는 농가 자발적인 수급조절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안영기 채란분과위원장은 “농가에서 자율적인 수급조절이 힘들어 법제화 요구가 이어졌지만 정부에선 수급조절에 대한 인프라가 구축이 안된 상황에서 쉽지 않다는 입장”이라며 “수급조절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농가의 자발적인 수급조절이 이어지려면 난가공 시장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도의 한 농가는 “지년 몇 년간 난가하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이러한 상황이 재발되지 않기 위해서는 수급조절이 필요한데 막연히 농가에게 줄이라고 말하는 것은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며 “우리나라도 이웃나라인 일본처럼 가공란 시장을 확대할 창의적인 방안이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정부도 수급조절과 유통구조 개선사업과 관련해 최선의 지원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서재호 사무관은 “산란계의 수급조절을 위해 양계협회에 수급조절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원활한 수급조절이 이뤄지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