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확장인한 농가 피해 가중
정부, 협동조합형 계열화 추진
표준계약서 사용 공정거래 유도
농가들 사이에서 계열화사업의 역할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대한양계협회는 지난달 27일 대구 EXCO에서 종계부화인대토론회<사진>를 갖고 각종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특히 농가들이 양계산물을 생산하는데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계열화업체에서 담당하고 있어 농가들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농가 중 한 명은 “계열화 사업은 생산, 가공, 소비가 원만하게 돌아가기 위해 시행됐지만 계열화업체의 생산에 대한 참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생산은 농가가, 가공은 계열화업체가, 소비는 소비자가 담당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서로 경쟁하고 발전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농가도 “계열화사업을 시작하면서 시장이 넓어지고 닭고기를 싼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된 것은 사실이지만 농가의 수수료는 20년 전과 비해 별 차이가 없다”며 “소득을 낼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생각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협동조합형 패커를 중점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농림축산식품부 권재한 축산정책국장은 “계열화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부분은 참으로 아쉬운 일”이라며 “하지만 계열화사업이 이미 90%를 넘어선 상황에서 업체를 사업에서 강제로 배제시키는 것도 힘든 일인 만큼 농협 목우촌 등 협동조합형 계열화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응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권재한 축산정책국장은 일부 계열화업체가 회사의 우월적 지위를 앞세워 불공정한 거래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표준계약서의 사용을 권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농가와 계열화업체간 동반자적 입장에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 마련한 것이 표준계약서”라며 “정부에서 앞으로 계약상의 불공정한 사례가 없도록 표준계약서를 통해 공정한 거래가 이뤄지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