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부 총 예산 13조5천344억 중 축산분야 1조4천여억원
사료 구입부담 완화에 7천527억
산지축산형농장활성화 신규 지원
내년 축산분야 살림살이 규모는 어느정도이며, 어디에 얼마만큼 쓰이나. /표 참조
농림축산식품부의 내년도 총 예산 규모는 13조5천344억원으로 이중 축산분야 예산(축발기금+농특회계+FTA기금)은 1조4천여억원이다. 이는 금년 1조3천여억원 대비 1천억원 증가한 규모이다.
내년 중점 예산편성 방향은 농업·농촌의 본질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박근혜 정부의 농정비전인 ‘희망찬 농업, 활기찬 농촌, 행복한 국민’을 실현시키기 위해 ‘농가소득 향상, 농촌복지 증진, 농식품 경쟁력 제고’ 등 농정의 3대축에 대한 전략적 재정지원 강화이다.
특히 축산정책의 경우,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산지축산형농장활성화에도 처음으로 예산이 책정됐다.
이를 위해 생산성 향상, 방역 강화 등 축산업 경쟁력 강화에 1조3천723억원의 예산이 편성, 올 1조2천822억원보다 늘었다. 여기에는 조사료생산기반구축, 말산업육성지원, FMD백신센터, 가축방역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축산업기반 구축을 위해 1천324억원이 지원되는데, 자연순환농업활성화에 310억원, 축산분뇨처리시설 969억원, 지역단위 친환경축산단지 조성에 45억원이 투자된다.
특히 농가의 사료 구입부담 완화를 위해 7천527억원이 지원된다. 이 중에는 농가사료직거래활성화 자금 5천억원, 사료산업종합지원 950억원이 포함되어 있다.
내년에 신규로 지원되는 사업에는 축산물수급관리 1억4천만원, 벌꿀 품질평가사업 2억100만원, 조사료생산품질관리개선 10억원, 산지축산형농장활성화에 12억5천만원, 축사시설현대화사업 사후관리 3억원, 축산 ICT융복합 확산 시범사업 59억7천500만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