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 16일 돼지에게 항생제를 대신해 미생물 발효사료를 만들어 먹이고 봉독 주사를 사용한 결과, 생산성은 높아지고 폐사율은 낮아졌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천시농업기술센터와 함께 미생물 발효사료와 봉독 활용기술을 전북 군산과 경기도 이천의 양돈농가 4곳에 2년여에 걸쳐 단계별로 보급한 결과, 군산의 양돈농가에서는 어미돼지 한 마리당 연간 출하두수(MSY)가 14.5마리에서 17.8마리로 3.3마리 늘고 폐사율은 21.4%에서 11.6%로 9.8%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이천의 양돈농가에서는 출하두수가 16마리에서 20.5마리로 4.5마리 늘고 폐사율은 19.2%에서 11.2%로 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발효사료는 미강 또는 일반 배합사료 1kg에 물 0.3ℓ, 미생물 0.01ℓ를 섞어 28~30℃의 온도에서 2~3일 정도 발효시켜 만드는 것으로 미생물은 유산균과 효모, 바실러스를 섞어 만든 것으로 어린돼지의 경우 0.5%, 큰 돼지의 경우 1% 정도를 일반 배합사료에 섞여 먹이면 된다.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김두완 연구사는 “미생물과 봉독 활용 기술 투입으로 돼지들의 면역력이 개선돼 생산성은 높아지고 폐사율은 줄었다”며 “최근 사료값 상승과 사료 내 항생제 사용 금지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