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음수·환기 등 자동제어
생산성 향상·효율 경영 유도
내년부터는 축사시설에도 ICT 융복합이 접목될 수 있도록 정부 자금이 지원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축산업에 첨단 ICT 융복합으로 최적의 사양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소득증대를 위해 축사환경의 센싱 모니터링, 사료급이, 음수관리 등 사양관리에 ICT 융복합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보급키로 했다.
이는 주로 양돈사에 적용하게 되는데 ICT 지능형 축사관리 시스템은 환경관리, 사양관리, 경영관리에 접목하게 된다. 즉, 환경관리를 위해 온도습도·이산화탄소 모니터링 및 웹캠을 통한 환경 및 위험관리를 하고, 사양관리 분야에서는 사료빈 관리기·축사별 급이기·음수관리기 등 제어를 통한 사양관리를, 경영관리 측면에서는 사양관리·생산계획·이력관리 등을 통한 경영계획 수립 및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농축산부는 이같이 IC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출하두수 증가, 생산비 절감, 질병관리 강화, 경영 효율화 등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축산부는 이를 통해 출하두수가 늘어날 수 있는 것은 센싱 및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한 사육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생산비 절감은 첨단 IT 기술 접목을 통한 효율적 농장관리로 관리비 절감, 효율적인 급이에 따른 사료비용 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사육 개체의 활동을 원격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임신, 질병 등의 위험요소 발생을 사전에 방지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경영 효율화 측면에서도 축적된 정보를 활용하여 사양관리, 생산계획, 이력관리 등의 효율적인 경영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농축산부는 내년 축사시설현대화 사업 예산 3천817억원 가운데 60억원을 ICT 융복합 사업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컨설팅비 2억원 보조에 나머지 58억원은 융자 50%, 보조 30%, 자부담 2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