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큰 쓸모나 이익은 없으나 버리기는 아까운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후한서의 양수전에서 유래된 말로 당시 위나라 조조는 촉나라 유비와 한중 땅을 놓고 싸우면서 진퇴를 놓고 깊은 고민에 빠져있었다.
밤 늦게 암호를 정하려고 찾아온 부하에게 조조는 그저 ‘계륵’이라고만 할 뿐 다른 말은 하지 않았다. 부하들은 아무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했지만 양수만이 조조의 속마음을 알아차리고 짐을 꾸리기 시작했다.
양수는 “무릇 닭의 갈비는 먹음직한 살은 없지만 그냥 버리기는 아까운 것이다. 조조는 돌아갈 결정을 내릴 것이다”라고 말했고 이는 한중 땅이 버리기는 아깝지만 무리해서 지킬만큼 대단한 땅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조조의 의중을 파악한 것이다.
그의 말대로 조조는 이튿날 철수 명령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