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소리를 듣겠다’는 목표로 시작한 낙농순회 토론회가 이제 막바지를 향해가고 있다. 경남과 경기북부 지역에서 진행된 순회 토론회의 뜨거운 현장을 소개한다.
>>경남 / 육우 송아지 가격안정대책 시급
지난 6일 창원시축협 본점 대강당에서 개최된 경남지역 낙농인 대토론회<사진>에서는 5일 타결된 한·호주 FTA 후폭풍에 대해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최대 낙농강국 가운데 하나인 호주와의 FTA에 농가들은 민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외에도 전국 쿼터제 조기 실시, 육우 송아지 가격안정대책, 제도적인 우유소비 확대 등 낙농기반 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우유군납 현행유지, 학교우유급식 단가 조정, 일부 유업체의 감아팔기 문제, 조사료 수급안정대책, 4대강유역 조사료 재배 허용, 우유 관련 부정적 언론보도에 대한 조직적 대응, 긴급도축 문제, 폐사축 처리대책, 낙농단지 조성, 가축분뇨 및 착유세정수 처리대책, 외국인 노동자 관리·교육 문제 등 갖가지 정책 및 현장 문제에 대한 해결 요구가 봇물처럼 터졌다.
>>경기북부 / 가축재해 보상시 고능력우 가치인정을
지난 9일 파주광탄소재 유일레저타운 탐라홀에서 열린 토론회<사진>에 참석한 경기지역 낙농인들은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을 추진 중에 있지만 현장에서는 문제점이 많아 협회차원에서 나서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가축질병 발생 시 보상 때 젖소의 경우 고능력 우의 가치를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면서 산유검정능력에 따라 이에 맞게 보상을 해줘야 한다는 등의 내용을 주장했다.
이날 손정렬 회장은 “국내 낙농산업은 선진국과의 FTA체결에 따라 수입 유제품 증가 속에 폐업 농가 증가, 고령화 및 후계인력부족, 환경규제 강화 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다. FTA 체제하에 낙농생산 기반 유지를 위해 제도적인 우유소비 확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학교급식 의무화, 학교우유 무상급식 확대, 군인·경찰 급식 등 단체급식 확대로 우유소비 확대가 필요하다. 협회가 앞장서 우유소비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