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육종개량 역점 철저한 사양·기록관리…개방시대 경쟁력 탄탄

■ 2013 전국축산물품질평가대상 수상자

기자  2013.12.18 09:54:37

기사프린트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허영)은 지난 13일 올 한해 축산물품질평가 우수농가를 발표했다. 이날 33개의 한우, 육우, 한돈, 계란 농가가 대상을 비롯 최우수상, 우수상, 육량우수상에 선정됐다. 이 농가들은 전국에서 최고등급을 가진 농가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한우, 육우, 한돈, 계란 농가의 등급판정결과와 사육노하우에 대해 살펴본다. ①주소(사육규모, 번식우 제외) ②등급판정두수 ③출현율(한우 1+등급이상, 육우 1등급이상, 한돈 1등급이상) ④사양노하우.

 

<대상>

>>국무총리상 (한돈) / 이건식 씨

①경기도 동두천시(2천두/모돈190두) ②3천558두 ③84.0% ④농장 생산성뿐만 아니라 출하성적을 활용해 출하 목표를 세웠다. 청결한 환경 조성에도 주력.

>>농축산부장관상 (한우) / 유완식 씨

①경기 고양(거세우 130두) ②77두 ③100% ④우량 한우 암소를 입식했다. 계획교배와 기록관리를 철저하게 하며 사료제한 급여로 육량·육질을 개선한다.

>>농축산부장관상 (육우) / 김영배 씨

①경북 상주시(거세우 69두) ②62두 ③32.3% ④입식 후 개체별 급여량과 설사, 감기 등 질병징후를 매일 점검하고, 생후 3~4개월령에 거세를 실시한다.

>>농축산부장관상 (한돈) / 김남태 씨

①제주도 제주시(2천두/모돈150두) ②3천555두 ③88.6% ④비육사 이동시 크기 비슷한 돼지 그룹관리(19두), 비육후기사료 출하전 30~45일 반드시 급여한다.

 

<최우수상>

-한우부문

·축산물품질평가원장상 / 박승철 씨
①전남 고흥(49두) ②42두③100% ④좋은 밑소 구입은 물론, 위생적이고 청결한 축사 환경을 유지하는데 주력한다.

·한우협회장상 / 김원기 씨

①인천 강화(117두) ②34두 ③100% ④암소 혈통 기록 및 관리로 20년동안 암소개량을 실시했다. 비타민 A를 급여한다.

-한돈부문

·축산물품질평가원장상 / 이영희 씨
①전남 영암(모돈 220두, 비육돈 864두) ②2천556두 ③78.5% ④이유 후 액상사료에 매실엑기스를 첨가해 급여하고 분만시 저체중 자돈은 도태한다.

·한돈협회장상 / 심병칠 씨

①경북 영주시(모돈 300두, 비육돈 2천두) ②5천400두 ③83.6%④사육단계별 미생물 제재를 급여하고, 순환식 돈사관리로 냄새를 제거한다.

-육우부문
·축산물품질평가원장상 / 이인수 씨
①경북 경주(31두) ②36두 ③25.0% ④TMF의 유용한 미생물에 의한 면역력 및 사료효율, 근내지방(BMS) 증가, 조사료를 일체 급여하지 않아 조사료비와 노동력을 절감했다.

·낙농육우협회장상 / 이준화 씨

①충북 보은(270두) ②34두 ③35.3% ④음용수의 관리를 하기위해 급수조 및 급이조 청결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6개월에 1회 구충을 실시하고, 영양제를 투여한다.

-계란부문
·축산물품질평가원장상  / 유재흥 씨

①경기 포천(산란계 25만수)②4천750만1천270개③91.7% ④육성기를 매주 측정해 균일도 수치를 ± 3% 이내로 조정한다. MG, 뉴모, 살모넬라 제어 백신프로그램을 확립했다. 여름철 간헐점 등을 통해 나중 및 난질관리도 철저하게 하고 있다. 

·양계협회장상 / 손병원 씨
①경북 영주(산란계 60만수)②5천924만6천466개③97.4%④질병예방을 위한 사전 예찰을 실시하고, 질병발생시 즉각 대처가 가능한 체제를 구축했다. 산란계 영양제인 비타민제와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하고 생균제, 메가존, 목초액, 게르마늄 등을 급여한다.

 

<육량우수상>

·종개협회장상(한우) / 강창환 씨
①충남 아산(거세우 80두) ②45두 ③97.7% ④맞춤형 정액 사용으로 꾸준한 개량을 추진했고 사양관리시 소와의 지속적인 스킨십을 했다.

 

<한우부문 지역우수상>

■이효재 씨
①경기 가평(20두) ②32두 ③87.5% ④한우육종 농가에 선정된 번식위주의 농가이며, 생보리를 갈아서 사료로 이용하고 있다. 암소와 거세하기 전 5개월령 송아지는 방목한다.

■홍택경 씨
①경기 평택(77두) ②30두 ③93.3% ④체형, 생김새 등 외관을 보고 어미소를 결정한다. 탈락된 암소는 계속 비육해 출하한다. 옥수수와 수단그라스를 자가 생산한다.

■선원석 씨
①강원 횡성(140두) ②59두 ③89.8% ④비육중기 우군을 재편성하고 소의 분변상태를 보고 사료급여량을 조절한다. 초음파측정과 후대검정을 통한 암소를 개량하고 있다.

■유남석 씨
①충남 논산(88두) ②30두 ③90.0% ④발효된 알곡사료를 지역축협 컨설팅팀으로부터 자문을 받아 자가 TMR기계에 조사료와 영양제를 혼합해 사육단계별로 급여한다.

■류재성 씨
①충북 옥천(64두) ②30두 ③90.0% ④생후 6개월까지 충분한 영양공급으로 충실한 사육을 하고 20년 동안 암소 개량을 해 7계대를 형성했다.

■홍정님 씨
①전남 장흥(70두) ②42두 ③92.8% ④후대검정을 통해 어미소의 능력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물통 청소를 매일하고 환기가 잘되게 해 축사 내 청결상태를 유지한다. 

■백남연 씨
①전북 부안(45두) ②32두 ③93.7% ④초기 단계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있고, 막사의 높이를 중앙 9M로 높게 설치해 환풍이 잘 되도록 처리한다.

■이상도 씨
①대구 달성(94두) ②38두 ③89.4% ④편안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음악을 틀어놓고, 사료급여시 채식상태, 되새김, 분변 등을 보며 개체관리를 하고 있다.

■박기철 씨
①울산시 북구(80두) ②44두 ③90.9% ④선발과 도태를 통한 암소개량을 하고 있으며, 성장속도에 따른 출하시기를 조절하고 있다.

■이종직 씨
①제주도 서귀포시(101두) ②40두 ③80.0% ④소화기, 반추위 및 골격근을 발달시켜 튼튼한 밑소를 육성한다. 깨끗한 물급여를 위해 하루 2회 이상 수조를 청소한다.

 

<한돈부문 지역우수상>

■이신영 씨
①경기 파주(모돈 225두, 비육돈 1천800두) ②4천213두 ③84.7% ④구간별 정확한 시스템 사육이 특징. 매뉴얼에 따라 사양관리·출하일령과 체중을 선별해 관리를 하고 있다.

■안장현 씨
①경기 여주(모돈 400두, 비육돈 3천두) ②8천237두 ③84.6% ④기본 사양종돈을 통일(LY×D, YL×D)하고 후기 사료급여에 충실히 했다. 출하체중 선별기를 도입했다. 

■함영택 씨
①강원 화천(모돈 140두, 비육돈 630두) ②3천33두 ③80.4% ④사육단계 전 구간 미생물제를 투여하고, 열교환 시스템을 설치해 환기와 온도습도를 유지한다.

■박선웅 씨
①충남 예산(모돈 350두, 비육돈 3천800두) ②6천829두 ③85.2% ④3개월에 한번씩 후보돈을 입식하고 품종을 단일화 했으며, 분만사 및 임신사에 에어컨을 설치했다.

■조성복 씨
①충북 진천(모돈 280두, 비육돈 1천400두) ②4천823두 ③78.4% ④돼지 장활동 촉진을 위한 생균제를 급여하고 신선한 공기주입 및 위해가스 배출로 돈사 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김형옥 씨
①전남 순천(모돈 160두, 비육돈 1천150두) ②3천670두 ③82.0% ④발정확인과 종부를 위한 웅돈 사육이 없다. 미달개체를 별도 관리하고 있다.

■권명순 씨
①전북 정읍(모돈 1천500두, 비육돈 7천500두) ②2만4천491두 ③83.7% ④어린 자돈의 면역력 증강을 위해 효소 및 특수 기호성 사료를 급여하고, 항생제 급여를 줄이는데 중점을 뒀다.

■송광복 씨
①경북 청송(모돈 200두, 비육돈 1천200두) ②4천547두 ③85.0% ④돈사 이동시 선별을 철저하게 해 비슷한 개체끼리 육성함으로써 관리도 원활하고 폐사율도 감소한다.

■박명희 씨
①경남 고성(모돈 165두, 비육돈 850두) ②2천554두 ③81.1% ④단위 면적당 적정 두수로 사육하고 있으며, 미생물제재 투여를 통한 면역을 증진, 무항생제 사육을 한다.

■안충호 씨
①제주도 제주시(모돈 250두, 비육돈 1천700두) ②4천500두 ③83.4% ④비육후기사료를 45일이상 급여하고, 미생물을 이용한 돈사 내부 청소로 가스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