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협 “수급조절 사업 활용”…외부유출 절대 없어
산란 종계 부화장에서 실용계 농장으로의 가축이동상황의 공개가 AI 확산을 막는 것과 더불어 수급조절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지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 발생 이후 가금관련 단체와 방역기관, 지자체 등과 함께 ‘AI 특별방역대책추진단’을 구성하고 관계법령, 긴급행동지침 및 가축방역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총력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특별방역대책추진단에서는 가축의 부화부터 사육, 도축까지의 이동정보 수집ㆍ관리를 통해 가축질병 예방 및 역학조사 등 신속한 방역체계 구축을 위해 산란계 병아리의 이동 상황을 양계협회를 통해 지난 6일까지 취합하도록 조치했다.
사실 예전부터 양계협회에서는 수급조절 등의 목적으로 산란계 부화장을 대상으로 병아리의 분양실적을 공개하는 실명제를 추진했으나 부화장에서 영업기밀과 개인정보 노출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난색을 표명,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부화장들도 AI 조기종식에 힘을 보태고자 분양실적 공개에 응했다.
양계협회는 이번을 기점으로 앞으로도 같은 방식으로 분양실적을 알 수 있다면 향후 수급조절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AI가 종식될 때까지 양계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축산농가의 경영안정화를 위해 앞으로도 가축 이동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출해달라고 부화장들에 요청했다”며 “취합한 자료는 향후 수급조절 사업에도 함께 활용할 예정이며 부화장에서 우려하는 영업기밀과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사항도 철저한 관리를 통해 외부유출이 절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