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혼상제 등 유사시 인력 파견
한우농가들도 올해부턴 불가피하게 농장을 비울 때 한결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됐다.
농협축산경제가 한우농가 도우미 지원사업을 올해 신규사업을 진행한다. 한우농가 도우미 지원사업은 낙농헬퍼와 같은 개념이다.
농협축산경제는 지역축협을 중심으로 한우농가 도우미 풀(Pool)을 구성, 운영토록 지도하고 올해 2억5천만원을 지원한다. 올해 우선 지원대상은 25개 축협이다. 대상조합마다 100농가가 연간 5일씩, 하루씩으로 계산하면 총 500농가가 한우도우미를 지원받을 수 있다. 농협축산경제는 한우도우미에게 하루 지급되는 비용을 10만원으로 계산해 그 중 20%를 직접 축협에 지원한다. 나머지 비용은 지자체 또는 축협 지원이나 농가 자부담으로 하는 방식이다.
한우농가들은 축산업허가제 의무교육을 받기 위해 농장을 비울 때나 본인이나 가족의 질병, 사고, 그리고 관혼상제 등 유사시 도우미를 불러 농장관리를 맡기면 된다.
축협에선 전문 도우미를 해당농가에 보내 농장의 청소와 방역은 물론 개체별 이상유무 진단, 질병 예찰 등을 통해 생산성 관리까지 책임진다.
농협축산경제는 이번 사업이 한우농장의 청소와 화재관리, 이상개체에 대한 적정한 처리 등 농가 생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한우농가들의 삶의 질 향상 효과로 이어지게 한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번식농가의 폐업축소, 후계자 등 인력수급 활성화 등의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농협축산경영부 김영수 부장은 “일선축협 중에서 한 발 앞서 조합원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한우헬퍼사업을 펼치는 곳이 있다. 일선축협의 아이디어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자체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축협의 우수사례와 올해 지원사업을 분석해 내년에는 전국의 모든 축협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우농가 도우미 사업을 자체적으로 시행 중인 조합은 횡성축협, 보은축협, 옥천영동축협, 당진축협, 예천축협 등 대여섯 곳이다. 보은축협의 경우 한우번식우 15두 이상, 일관사육과 비육농가는 25두 이상 농가를 대상으로 연간 5일 이내에서 도우미를 지원하고 있다. 보은축협 도우미들은 소독, 바닥과 물통, 전기장치 청소부터 사료급여, 질병 예찰 등 농가들이 비운 농장을 관리해주고 있다. 하루 8~12만원의 도우미 이용비용은 군비 50%, 축협 30%, 농가부담 20%로 충당해왔다. 당진축협은 기본두수 50두당 하루 9만원의 이용비용 중에서 5만원은 조합이, 4만원은 농가가 부담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