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위치추적 첨단기술로 철새 AI 예방 강화

정부, 연구 목적 야생조류에 부착 위치추적장치 방역 차원 확대키로

김영란 기자  2014.02.12 13:34:26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는 AI 상시예찰 및 멸종위기에 처한 철새의 보전·연구 등을 위해 야생조류에 부착해 온 위치추적장치를 확대, AI 예방관리 강화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1993년부터 철새 등에 이동연구용 금속가락지 등을 부착해 왔으며, 멸종위기종 보호 및 AI 등 조류질병 연구를 위해 위치추적기 부착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부터다.
그동안 이런 위치추적장치를 통해 중요 종의 이동경로와 월동지, 번식지 등을 파악하여 조류생태 연구(국립생물자원관)와 AI 상시예찰·연구(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환경과학원) 등에 활용해 오고 있으며, 양 부처간 협력을 통해 철새와 가금에서 발생하는 AI 등 조류질병과의 연관성 연구도 실시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치추적장치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인공위성추적기(PTT 방식)와 이동통신망 추적장치(CDMA 방식) 등 두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는데, 조류의 크기, 무게, 생태적 특성 등을 감안하여 기기를 선별, 사용하고 있다.
정부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철새는 총 18종 169개체로서 맹금류인 흰꼬리수리와 참매를 포함하여 기러기류, 오리류, 백로류 등이다. 환경부는 17종 93개체, 농축산부는 3종 76개체에 부착, 멸종위기종·희귀종 보호정책과AI 등 조류질병 연구 등에 활용하고 있다.
PTT방식의 위치추적 장치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고 있으며, 가창오리는 야행성으로 활동범위가 불규칙하여 포획이 쉽지 않았으나 관계 전문가 노력 등으로 포획·부착이 가능했다. 특히, 가창오리에 위치추적장치를 부착, 신호가 수신된 사례는 이번이 전 세계적으로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