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품목조합 패커화 시범사업 실시를”

한돈협 ‘기업자본 견제…협동조합 힘 싣기’ 본격화

이일호 기자  2014.03.17 13:52:4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양돈농협 패커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대한한돈협회의 발걸음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이병규)는 최근 FTA대책의 일환으로 품목조합 패커화 시범사업을 정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FTA시대하에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유럽형 협동조합 대형패커(Meat Packer)를 품목조합 중심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돈협회는 이를 위해 수도권과 중부, 남부지역 품목조합 3개소에 도축, 유통, 기반시설을 갖춘 ‘축산물종합유통센터’ 설립토록 하는 등 대형패커화 지원을 위한 시범사업을 정부에 제안했다.
구체적인 예산과 지원조건도 제시됐다.
우선 전체 소요예산은 1개소에 1천200억씩 모두 3천6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한돈협회는 추정했다.
각 품목조합별로 부지매입 및 조성공사 비용 300억원은 자부담토록 하되, 도축과 육가공, 렌더링시설, 폐수처리장 등 건축과 설비에 필요한 예산 1천200억원의 경우 정부 융자형태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융자조건은 패커사업에 따른 수익추이를 추정할 때 10년거치, 10년 분할상환에 연리 1%의 조건을 적용, 장기저리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돈협회가 이처럼 양돈농협 패커화에 발벗고 나선 것은 시장에서 기업자본에 대한 견제와 균형유지를 통해 농가의 예속화를 방지하고 건전한 양돈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합리적인 대안이 품목조합, 즉 양돈농협이라는 판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의 양돈농협 규모만으로는 기업자본과의 경쟁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
실제로 이병규 한돈협회장은 최근 전국양돈조합장협의회와 회동한 자리에서 “적어도 국내 양돈시장의 60%는 협동조합이 주도해야 한다”고 협동조합 역할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지난 12일 개최된 한돈협회의 기업한돈업 진출저지분과위원회(위원장 김계현)에서도 이러한 분위기는 그대로 이어졌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기업자본의 사육업을 제한할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과 함께 시장에서도 기업자본의 독주를 막아야 비로서 농가의 예속과 경제논리가 아닌 식량안보차원에서 양돈산업의 미래를 담보할수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협동조합 패커 육성에 위원회 대책의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학계의 한 참석자는 “세계 최대 양돈계열화업체인 미국의 스미스필드사가 중국 자본에 매각됐고, 베트남과 필리핀, 캄보디아의 경우 다국적 계열화업체인 CP사가 장악, 현지 양돈산업의 운명까지 좌우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기업견제론에 힘을 실었다.
한돈협회가 양돈농협 패커화의 힘싣기에 본격 나섬에 따라 향후 추이에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