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AI 여파 따른 수급조절 ‘발등의 불’

■ 제20대 양계협 집행부 해결과제는

김수형 기자  2014.03.24 10:47:2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제20대 대한양계협회장 선거가 끝이났다. 이언종, 김익수 후보를 제치고 당선된 오세을 당선자는 양계산업이 AI로 고통받는 현 시점에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얻었다. 오세을 당선자의 선거 공약을 바탕으로 제20대 양계협회와 집행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육계, 계열화사업법 정착
산란계, 유통구조개선 시급

 

오세을 당선자는 양계협회를 활력있는 협회, 소통하는 협회로 만들어 갈 것을 강조했다.
가축을 기르는 생산자 본연의 순수한 마음으로, 관련 단체들과 머리를 맞대고 협회발전과 산업발전으로 농가 소득을 더욱 올리는 데 앞장서겠다는 것이 오세을 당선자의 출마의 변이었다.
당장 양계업계는 수급조절이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AI로 인해 발병과 예방적 살처분 등으로 공급과 소비가 동시에 줄어들면서 원활한 수급조절에 나서야 하는 것이 당장 눈 앞에 떨어진 과제가 됐다.
육계는 계열화사업법의 정착이 가장 큰 숙제다.
계열화업체와 일부 사육농가는 병아리 품질, 사육비 문제로 항상 갈등을 빚어왔다.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계열화사업법을 시행, 농가와 회사간 상생 분위기가 많이 조성되었지만 분쟁조정위원회가 열리는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생겨났다.
업계 관계자들은 농가 개인이 아닌 농가협의회 차원에서의 분쟁조정 신청이 이뤄지는 것이 합당한 절차이며, 분쟁조정 신청으로 인한 회사의 보복성 인사 혹은 농가의 구제방안 등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란계는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하다.
계란도 농가와 유통인은 서로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DC(산지할인거래)와 후장기거래 등으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이에 양계협회에서 전남지역을 시범지역으로 하여 유통구조 개선 사업을 추진했으나 물거품이 된 바 있다.
산란계농가들은 생산단계에서는 나날이 선진화되고 있는 반면, 유통단계는 수십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선진화된 유통구조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종계농가들은 계열화업체의 직영농장 확대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 계열화업체에서 종계 직영농장을 늘리면서 농가의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양계협회가 지난해 실시한 전국 부화장 조사결과에 따르면 닭 전용 부화장 168개소 중 절반 이상이 휴업이나 폐업상태로 나타났으며, 많은 종계 농가들이 육계 사육으로 업종을 전환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계 농가들은 “회사에서 농가 본연의 업무인 생산에 가담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농가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