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 축산업계 숙원 정책반영 촉구활동 전개키로
범 축산업계가 2012년 대선 당시 정치권에 요구했던 숙원사항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데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축협 조합장 사이에서 터져 나왔다.
새 정부 출범 2년차인 올해 축산인들의 요구사항이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축산지도자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농업경영인축협조합장협의회(회장 최삼호·경주축협장)는 지난 10일 대전선샤인호텔에서 2014년도 정기총회<사진>를 가졌다.
이날 총회에서 조합장들은 2012년 대선 때 전국축협운영협의회,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축산관련학회협의회를 주축으로 범 축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정치권에 요구했던 사항들이 제대로 해결된 것이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농림수산식품부를 농림축산식품부로 개칭해 달라는 요구는 우여곡절 끝에 받아들여졌지만 농축산부 내에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축산조직 확대개편 등 후속조치는 사실상 없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조합장들은 당시 정치권에선 모두 범 축산업계의 요구사항 해결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지만 막상 대통령 선거가 끝난 후에는 축산인들의 숙원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새정부 들어 세계 각국과 동시다발적으로 FTA가 체결되거나 협상을 진행하면서도 무역이익공유제 조차 도입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분개했다.
이날 농업경영인 축협 조합장들은 앞으로 전국축협운영협의회(축산발전협의회)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범 축산업계의 숙원을 풀어 나가자고 의견을 모았다. 필요할 경우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축산관련학회협의회 등 대선 당시 축산인들의 숙원사항을 함께 발굴하고 건의했던 단체들과 협력체계도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선 당시 범 축산업계가 현장의 의견을 모아 요구했던 사항은 총 15개로 <1>농림축산식품부로 명칭 개칭 <2>국내 축산물의 자급률 목표치 상향 조정 <3>무허가 축사 양성화 <4>지자체별 친환경 축산 단지 공영개발 <5>군납·학교급식 100% 국내산 축산물 공급체계구축 <6>해외 곡물 자원 개발 지원강화 <7>FTA에 따른 축산농가 피해보전 대책강구 <8>축산부문 직불금 제도 도입 <9>사료가격 안정을 위한 지원대책 마련 <10>기타가축에 대한 수급안정기금 조성 <11>FTA 무역이득공유 지원방안마련 <12>협동조합 중심의 축산계열화 촉진 <13>목장용지 양도세 감면·가업상속공제허용 <14>축산분야 생산비 절감을 위한 제도개선 <15>SOC(사회간접자본) 방식의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등이다.
한편 정기총회에서 조합장들은 지난해 사업결산안과 올해 사업계획 및 수지예산안을 심의, 원안대로 의결했다. 회칙개정(부칙)안은 수정의결하고, 오는 8월18~19일 제주에서 농협조합장협의회와 공동으로 농업경영인조합장 워크숍을 개최키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