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AI ‘철통방역’시스템 구축 만전

예방 관리·신속 대응·효율성 키워드

김영란 기자  2014.04.28 14:02:5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란 기자]

 

수그러든 줄 알았던 AI가 또 다시 충북 진천과 경북 울주 등에서 발생해 농가와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AI 방역체계 개선방안 마련에 막바지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AI 방역체계 개선 기본방향을 크게 ▲사전예방 ▲발생대비 ▲제도·조직으로 나눠 마련중에 있다.
이에 따르면 사전예방을 위해 AI 위험지구 설정 및 축사 허가를 제한하고, 국제 공조 및 철새 경보체계 구축, 여행객·외국인근로자 관리 강화, 계열화사업자 책임관리제도 도입, 집단사육단지 특별관리, 가금농장 리모델링, 축산업 허가제 관리 강화 등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발생시 신속대응을 위해서는 AI 검사체계를 정비하고, 동물방역통합시스템 및 GPS 차량관리 고도화, 역학조사 체계 정비, 살처분 범위 및 스탠드스틸 발동기준, 방역대 및 이동통제 범위, 분뇨 및 분뇨차랑, 사료차량관리 등에 대한 SOP 보완도 새로 마련중에 있다.
방역의 책임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살처분보상금 지원체계를 개선하고, 방역조치로 인한 손실 보상 현실화, 지자체 지원체계 정비, 정책 기능 재정비, AI센터 설치 등 지원제도 개선과 방역체계 개편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