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내시장 경쟁력 키우자” 육계, 계열화사업 정비 우선

■ 정부 FTA 가금대책 토론회 무슨 말 오갔나

김수형 기자  2014.05.13 21:46:20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최근 축산강대국들과 잇따라 FTA가 체결되면서 국내 축산업계를 긴장에 몰아넣고 있다. 축산관련단체장들은 “국익을 위한 FTA 체결도 좋지만 상대적으로 피해를 감수해야만 하는 농가들의 목소리를 담은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안성팜랜드에서 양계관련 단체들과 함께 ‘FTA 관련 가금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내 축산물의 국가 경쟁력을 키워 수입이 안되게끔 하는 것이 과제”라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진행됐으며, 육계ㆍ산란계ㆍ오리 분야로 나누어 그 동안 각 업계에서 갖고 있던 사안들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각 분과별 토론회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산란계, 집하장 문제 해결 수취가격 투명화
오리, 中 수입육 위협적…축사시설 개선 시급


◆육계 토론회

육계시장의 경우 FTA가 체결되더라도 현재 미국과 브라질산이 주축을 이루는 수입닭고기 시장의 특성상 더 큰 물량이 수입될 가능성이 적어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현재 진행 중인 계열화사업을 정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입을 모았다.
육계계열화 사업의 경우 생산성 향상과 농가 소득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농가는 회사의 과잉생산으로 인해 사육 회전수가 줄고 사육비가 깎이는 문제가 있으며, 회사도 최종산물에 대해 가공을 거듭할수록 마진이 줄어들고 있어 소비침체에 의한 손실이 크다고 토로했다.
이에 농가와 회사간 신뢰를 회복하고 계열화사업 발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계의 경우 시설, 백신 등의 검사를 확실히 해 생산성을 높이는 부분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토종닭의 경우 소규모도계장과 거점도계장의 건립으로 도계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란계 토론회

현재 일부 가공품을 제외한 99%의 물량을 내수시장에서 해결하고 있는 계란의 경우도 FTA에 의한 피해보다는 내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계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집하장 건립 문제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지만 각 단체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을 도출하진 못했다.
양계협회는 “현재 계란 유통구조는 유통인과 농가의 협의에 의해 농가 수취가격이 결정되는 등 투명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기존의 집하장을 충분히 활용한 집하장이 있어야 공정한 가격결정이 이뤄지고 일일이 여러군데 농장을 방문해야 하는 유통인의 수고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계란유통협회 측은 “집하장을 건립해 운영하면 결국 또 하나의 유통구조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리 토론회

오리업계는 중국과의 FTA가 오리산업을 위기에 빠트릴 것으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국내산 오리고기는 원가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수입육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오리의 수출은 털과 부산물만 가능할 뿐, 고기의 경우 수출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FTA를 체결하면 정부에서 이러한 점을 주목하고 국내산 오리고기를 수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농장의 시설개선과 계열화사업의 발전 방안도 논의됐다.
오리협회 측은 “농가도 우수한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시설정비를 위한 투자를 하려고 해도 무허가 상태인 경우는 시설투자자금을 지원받을 수 없고, 시설정비 없이는 허가도 나지 않는 상황”이라며 “무허가 축사의 양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