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축산강대국들과 잇따라 FTA가 체결되면서 국내 축산업계를 긴장에 몰아넣고 있다. 축산관련단체장들은 “국익을 위한 FTA 체결도 좋지만 상대적으로 피해를 감수해야만 하는 농가들의 목소리를 담은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9일 안성팜랜드에서 양계관련 단체들과 함께 ‘FTA 관련 가금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내 축산물의 국가 경쟁력을 키워 수입이 안되게끔 하는 것이 과제”라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진행됐으며, 육계ㆍ산란계ㆍ오리 분야로 나누어 그 동안 각 업계에서 갖고 있던 사안들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각 분과별 토론회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산란계, 집하장 문제 해결 수취가격 투명화
오리, 中 수입육 위협적…축사시설 개선 시급
◆육계 토론회
◆산란계 토론회
현재 일부 가공품을 제외한 99%의 물량을 내수시장에서 해결하고 있는 계란의 경우도 FTA에 의한 피해보다는 내부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계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집하장 건립 문제가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지만 각 단체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을 도출하진 못했다.
양계협회는 “현재 계란 유통구조는 유통인과 농가의 협의에 의해 농가 수취가격이 결정되는 등 투명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기존의 집하장을 충분히 활용한 집하장이 있어야 공정한 가격결정이 이뤄지고 일일이 여러군데 농장을 방문해야 하는 유통인의 수고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계란유통협회 측은 “집하장을 건립해 운영하면 결국 또 하나의 유통구조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리 토론회
오리업계는 중국과의 FTA가 오리산업을 위기에 빠트릴 것으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국내산 오리고기는 원가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수입육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오리의 수출은 털과 부산물만 가능할 뿐, 고기의 경우 수출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FTA를 체결하면 정부에서 이러한 점을 주목하고 국내산 오리고기를 수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농장의 시설개선과 계열화사업의 발전 방안도 논의됐다.
오리협회 측은 “농가도 우수한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시설정비를 위한 투자를 하려고 해도 무허가 상태인 경우는 시설투자자금을 지원받을 수 없고, 시설정비 없이는 허가도 나지 않는 상황”이라며 “무허가 축사의 양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