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항생제 닭 보다 체중·신선도 ↑…수익성 높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 21일 양파 껍질에 많은 케르세틴(Quercetin)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로 닭의 생산성과 면역력, 닭고기의 저장성까지 높일 수 있는 기술을 확립했다고 밝혔다.
그 동안 양파와 양파 껍질에 풍부한 케르세틴은 가공 부산물의 원활한 수급이 어렵고 닭에게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현장 보급과 산업화가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에 축산과학원이 개발한 케르세틴 함유 첨가제를 사료에 0.1%(케르세틴 함량 : 사료 1kg당 10mg 수준)비율로 섞어 5주 동안 육계에 먹인 결과 항생제를 넣지 않고 급여했을 때보다 몸무게는 5.0% 늘었고, 사료섭취량은 5.2%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액 내 총 항산화력은 13.4% 증가했고 간과 신장의 손상지표인 아미노전이효소 AST, ALT 역시 각각 14.6%, 13.0% 줄어드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닭고기 신선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지질과산화가는 18.2%, 휘발성 염기질소는 22.4% 줄어 닭고기를 냉장보관할 때 산화나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측은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케르세틴이 함유된 사료첨가제를 육계 사료에 넣어 급여할 경우 생산성이 높아져 닭 한 마리당 수익이 9.7%(137원)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국립축산과학원 영양생리팀 김재환 과장은 “케르세틴과 같은 농식품 부산물 유래 유용물질의 활용을 통해 자원 선순환 모델을 제시하는 동시에 양계농가에는 생산성 개선과 무항생제의 안전한 닭고기 생산으로 수익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최근 양파가격이 폭락하면서 적절한 수급을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르세틴(Quercetin)이란?
-식물체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성분 중 하나로 향균, 항산화, 항암, 스트레스 감소, 면역 조절, 위장관 및 간 기능 개선, 신경 안정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이다. 특히, 양파 속보다 겉껍질에 5~100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