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연방 3개국 FTA 관련, 축산대책 마련을 위한 농림축산식품부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농축산부는 지난달 29일 축산대책 마련을 위한 워크숍을 열고, 관련기관 및 단체로부터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날 농축산부는 축산대책 수립의 4대 기본원칙을 △기존 축산분야 FTA대책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방안 추가 △영연방 3개국 FTA로 인한 피해분야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강구하되, 축산업 전반을 선진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 △선진국의 축산여건 분석과 미래 우리 축산업 여건을 전망하고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강구 △대책수립 및 집행과정에서 생산자단체, 소비자단체,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력과 소통의 극대화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농축산부는 가축비 절감과 생산성 제고 등을 위해 사양관리를 개선하고, 품질 차별화를 위해 한우의 경우 (가칭)한우특성화사업단을 구성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경제사업활성화자금을 활용, 축종별 상황에 맞는 조합원-조합-중앙회간 계열화 체제를 구축하되 한우는 중앙회, 양돈은 품목조합 중심으로 협동조합 패커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축산 정책자금의 금리인하 및 상환기간 연장 등 지원체계를 개선하고, 축사거리제한 기준 개선 등 안정적인 경영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가 경영정 지원 및 원활한 가업승계 등 축산기반 유지를 위한 세제지원 방안도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