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제3종 가축전염병 규제 철폐 시급”

이일호 기자  2014.06.04 12:35:40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PED 확산 불구 이동제한 조치에 신고 ‘쉬쉬’
양돈·수의업계 방역대책 막는 장애물 지적

 

PED가 올 양돈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제3종 법정가축전염병에 대한 규제철폐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양돈농가와 수의전문가들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부터 국내 양돈현장에 제3종 전염병인 PED가 전국적으로 확산됐을 뿐 만 아니라 올 가을부터 또다시 큰 피해를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관계당국은 물론 축산단체 조차도 PED 발생현황이나 피해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양돈농가나 현장 수의사들의 전언에 의존해 그 현황과 시장에 미칠 영향을 짐작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는게 현실.
그러다보니 돼지고기 수급과 가격전망에 따른 대책마련에도 적잖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양돈농가들이 질병발생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꺼리는 것도 있지만 PED가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 이동제한 조치 대상에 포함돼 신고를 기피하고 있는 현실을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한 수의전문가는 “양축현장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가축질병에 대한 이동제한은 현실적으로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오히려 각종 규제가 질병으로 꼭꼭 숨기는 원인이 되면서 효과적인 방역대책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PED와 함께 제3종가축전염병으로 관리되고 있는 PRRS도 사정은 다를바없다.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농장에서 이미 양성화 돼 있는 상황.
이에따라 양돈업계에서는 PED와 PRRS를 제3종 가축전염병에서 제외하거나, 3종가축전염병에 대한 규제 철폐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며, 방역당국에서도 이를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최근 PED로 인한 피해와 함께 정확한 정보없이 시장혼란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최근 범정부 차원에서 사회전반에 걸친 각종 규제개선 시도가 이어지면서 제3종 가축전염병에 대한 규제철폐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