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분야 상생 협력 가능한 대북정책 필요”

통일농수산정책연구원 ‘통일준비 위한 전략’심포지엄서 제기

김수형 기자  2014.06.18 16:43:01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남북통일 준비를 위해 북한과 상생하면서 상호 협력이 가능한 축산분야 대북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통일농수산정책연구원(이사장 윤천영)은 지난 17일 농업기술진흥관에서 ‘통일 준비를 위한 농림수산부문 대북정책 수집전략’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축산분야 발표자로 나선 건국대학교 북한축산연구소 김수기 소장은 북한의 축산은 성장 잠재력이 큰 만큼 우리나라의 선진화 된 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수기 소장에 따르면 북한의 연간 축산물 생산량은 56만5천475톤으로 우리나라의 441만8천400톤에 비해 크게 적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와 달리 초식가축인 토끼, 염소의 사육이 가장 많은 상황이다.
특히 지역별로 살펴봤을 때 한육우, 젖소, 돼지, 가금 등 주요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자연적 요건을 갖추고 있어 우리나라의 선진 기술을 도입하면 크게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됐다.
김수기 소장은 “우리나라는 향후 축산자재 지원 등을 통해 북한에 종축개량시스템을 도입하고 농축산물 생산량의 증가로 북한 주민의 영양상태 개선에 힘써야 한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