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돈협, 이사회서 ‘출하대금 정산시 지급률 조정 자율캠페인’ 결정
6천원 이상시 2% ↓·3천500원 미만시 2% ↑…당장은 하향 불가피
대한한돈협회(회장 이병규)가 돼지가격에 따른 지급률 조정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전개한다.
어디까지나 ‘자율’이라는 단서가 붙기는 했지만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돼지값을 농가 스스로 낮춰 받자는 것이어서 축산업계를 비롯한 국내 모든 산업계에 적잖은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돈협회는 지난 18일 서울 서초동 제2축산회관 대회의실에서 제3차 긴급이사회를 갖고, 돼지거래시 가격에 따라 지급률을 조정하는 자율 캠페인 추진방안을 원안 승인했다. <관련기사 다음호>
캠페인 동참시 최근의 돼지가격하에서는 생산자 손해가 불가피한 실정임에도 육가공업계와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화,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한돈협회가 캠페인을 통해 제시한 지급률 조정기준에 따르면 도매시장 가격이 박피기준 kg당 5천500원 이상일 때는 지급률을 1%, 6천원 이상일 때는 2% 하향조정하게 된다.
반면 돼지생산비가 4천300원임을 감안, 도매시장가격이 kg당 4천원 미만일 때는 1%, 3천500원 미만일 때는 2%를 각각 상향조정한다.
한돈협회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지금처럼 돼지 도매시장 가격이 지육kg당 6천원 이상일 경우 월 150억원 정도의 농가수취가격 인하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그만큼 육가공업계의 원료육 구매부담이 감소하면서 소비자 가격인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물론 양돈현장 일각에서는 거부감이 표출되기도 했다.
돼지가격이 높게 형성된지 수개월에 불과, 얼마전까지 이어진 장기불황의 여파에서 양돈농가들이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현실 때문이다.
이사회 승인과정에서도 가격하락시 지급률 상향조정을 육가공업계가 외면할 경우 양돈농가만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의 높은 가격이 국내 육가공업계와 소비자의 국내산 시장 이탈, 그리고 수입육의 급격한 시장잠식으로 이어지면서 국내 양돈산업의 ‘독’으로 작용할수 있다는 판단이 주류를 이루며 결국 ‘상생’쪽으로 가닥을 잡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돈협회는 이에 따라 농가 자율적인 캠페인 동참을 적극 독려해 나가는 한편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상호 지급률 조정 협약 MOU를 제안하는 등 육가공업계의 협조를 공식 요청했다.
이병규 한돈협회장은 “대량살처분으로 인해 돼지가격이 폭등하자 정부까지 나서 수입을 확대, 국내산 유통시스템 붕괴와 가격하락으로 이어졌던 FMD 사태 당시의 악몽이 재현돼서는 안될 것”이라면서 “정부에서도 고돈가를 겨냥, 수입을 통한 인위적 시장개입은 없을 것임을 약속한 만큼 이제 소비자가 다가오길 기대하기 보다는, 양돈농가와 산업이 먼저 소비자에게 다가가는 모습을 보여줄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