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돈가정산 개선하려면 농가 불안부터 해소”

이일호 기자  2014.06.30 11:31:38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탕박’ 전환시 가격 임의조정 가능성에 우려 
관련회의서 지적, ‘손실볼 것’ 막연한 시각도


박피 중심의 돼지가격 정산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양돈농가의 불안해소가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최근 대한한돈협회에서 열린 돼지가격 안정 및 정산방식 개선대책 회의에서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국 도매시장의 박피 평균가격에 의한 돼지가격 정산이 주류를 이루면서 대표가격 논란과 함께 급격한 가격변동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만큼 어떤 방법으로든 개선이 필요하다는데 전반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
실제로 박피도축물량은 매년 감소, 올들어서는 전체 출하량의 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탕박’ 가격을 정부 대표가격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양축현장에서는 여전히 박피가격을 기준으로 한 돼지 가격 정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탕박’으로 정산기준 가격 전환, 나아가 등급제 정산의 정착을 위해서는 양돈농가들에게 정산방식이 변화되더라도 손해가 없다는 확신을 주는게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일부 참석자들은 박피 물량이 농가에서 출하되는데 비해 탕박의 경우 육가공업체에 의해 대부분 출하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임의적으로 가격조정이 가능할 것이라는 농가들의 불안감부터 해소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투명한 가격형성을 위한 안전장치가 제시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다른 참석자는 박피에서 탕박으로 변경할 경우 연중으로 따져보면 수익에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농가들 사이에서는 막연히 ‘불리하다’는 인식이 만연, 정산방법 개선에 결정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특히 부산물 가격에 따라서는 실질적으로 농가 수익이 변화할 수 있는 만큼 정산방법 개선 시점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돈협회 정선현 전무이사는 “돼지가격이 오를 때면 정산방법을 바꿔야 한다는 말들이 많이 나온다”며 양돈현장의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객관적인 연구기관에 연구용역을 의뢰, 정산방법 개선에 따른 양돈농가 불안감 해소와 합리적인 대책을 모색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