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농가협의회-계열사 수급조절 등 현안 해법 공동모색

■초점 / 변화 시도하는 계육협…향후 계획·과제는

김수형 기자  2014.07.02 09:59:55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한국계육협회가 한국육계협회로 협회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총회에서 최종 의결된 이번 사안은 현재 농림축산식품부의 허가를 앞두고 있으며, 허가가 나면 계육협회는 육계협회로 변경된다. 계육협회는 협회의 운영을 계열화사업자 위주에서 농가와 공동운영하는 형태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협회명 변경 사유를 설명한 가운데 앞으로의 계획과 남은 과제를 살펴보았다.

 

농가협의회장 부회장에…계열사와 사안 논의
정부에 현실성 있는 AI SOP 개정안 건의
“생산자단체 아니다” 양계협선 강력 반발도

 

◆수급조절 문제 해결될까

이번 총회에서 전국육계사육농가협의회의 구성이 눈에 띈다.
계열화업체의 농가협의회에 포함된 농가들로 구성된 전국육계사육농가협의회는 육계사육농가 분과위원회의 활성화를 돕게 된다.
특히 육계사육농가 분과위원장으로 결정된 체리부로의 백승립 농가협의회장은 계육협회의 부회장으로 임명됨에 따라 수급조절회의 등 각종 회의에 참석해 계열화주체 대표들과 함께 각종 사안을 논의하게 된다.
이날 총회에서도 기타토의 시간을 통해 수급조절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각 계열사의 농가협의회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계열사 대표들과의 허심탄회한 대화도 이뤄졌다. 계열사 대표들은 지금같은 추세면 농가와 회사 모두 적자경영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다고 입을 모으고 앞으로 추이를 보며 효율적인 수급조절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AI SOP 개정안 요구키로

계열화주체들은 현실성 없는 이동제한, 방역대, 살처분, 입식금지 지역 설정 등의 문제로 피해가 극심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달 열린 육계사육농가 분과위원회에서도 회의 참석자들이 현실성 있는 AI SOP 규정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만든 예방적 살처분의 규정이 너무 과도해 오히려 피해를 키웠다며 이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계육협회는 정부의 AI 대책에 포함되는 내용이 계육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되게끔 정부에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양계협회와의 갈등해결은 숙제로

계육협회의 협회명 변경 건과 관련해 양계협회는 강력하게 반발했다.
양계협회는 6월 육계분과위원회에서 생산자단체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육계산업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계협회는 이날 회의에서 “계육협회가 생산자단체라 주장하거나 육계산업의 주도권을 잡으려 하는 상황에서 생산자 단체의 정의를 분명히 하여 농가와 관계된 일은 계열사의 개입을 차단, 농가의 의견이 왜곡되지 않고 정확히 반영되게 할 필요가 있다”며 “민법, 축산법 개정을 통해 육계 사육에 관한 업무는 양계협회에서 전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병학 회장은 “농가와 계열사가 함께 협회를 운영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며 생산자 단체 타이틀에는 연연하지 않겠다”며 “육계사육농가 분과위원회도 설립된 이상 양계협회에서 문제 삼은 협회장 문제도 향후 농가에서 맡을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