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두 복제…학습효과·탐지능력 우수
개발기술 특허출원…내달 엑스포 전시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박용호)는 복제 검역탐지견이 국경검역 중심축으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검역본부는 지난 2011년 이후 서울대와 ‘우수 검역탐지견 복제생산 연구' 사업을 통해 검역탐지견 14두를 복제했고, 이를 주요 공항만 등 검역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다.
이들 복제 검역탐지견 ‘큐피(Quppy)’<사진>는 국내 최우수 검역탐지견인 ‘데니(Danny)'와 ‘카이져(Kaiser)' 귀에서 세포를 떼어 이를 복제하는 방법으로 태어났는데, 일반 탐지견에 비해 학습효과가 뛰어나고, 검역물 탐지능력도 우수하다는 평가다.
게다가 향상된 공여세포배양기법을 통해 검역탐지견 복제 효율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실용화에도 성공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공여세포 최적화 배양액'은 지난해 국내 특허출원 완료됐고, 다음달 26일 열리는 오송 국제바이오산업 엑스포에 전시될 예정이다.
검역본부는 FMD 등 악성가축전염병은 물론, 목조건축물 등 문화재에 큰 피해를 주는 흰개미와 목재 포장재 등에 대해서도 탐지가 가능하도록 검역탐지견의 활용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아울러 탐지견 복제기술이 ‘201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선정됨에 따라 관-학 협력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