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영관리’ 전환 후 첫 조치…사후관리 대폭 강화
한돈자조금 관리위원회(위원장 이병규, 이하 관리위)가 직영관리 체제로 전환과 함께 부실 한돈판매 인증점에 대해 칼을 뽑아들었다.
관리위는 지난 11일 열린 한돈판매인증점 협의체 대표자 간담회에서 올해 전국 인증점에 대한 재검검 결과를 통보하는 한편 인증사업 제도 정비와 인증사업 홍보강화, 협의체 활성화를 통해 ‘제2의 도약기’로 전환을 약속했다.
<관련기사 다음호>
관리위에 따르면 이병규 위원장 취임 직후 기획사 대행으로 이뤄져 왔던 인증점 관리를 자조금 사무국 직영체제로 전환,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에 걸쳐 전국의 음식점 인증점 838개소를 대상을 재검검을 실시했다.
국내산 돼지고기 ‘한돈’ 만 사용하면서 인증점 계약을 준수하겠다는 협약서 체결의지(10점)를 비롯해 △인증사업 참여 의지(20점) △‘한돈’의 구매관리(20점) △매장규모와 매출, 종업원수(30점) △기존 인증사업참여도(10점) △인증사업 만족도(10점) 등 모두 6가지 항목에 대해 채점, 종합점수에 따라 A~D까지 등급을 구분했다.
그 결과 70점 이상인 B등급이 59.8%인 501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C(60점 이상)등급 183개소(21.8%), D(60점 미만)등급 115개소(13.7%), A(90점 이상)등급 39개소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리위는 이에따라 D등급으로 분류된 115개소에 대해서는 인증을 취소하는 한편 지금까지 배부됐던 각종 홍보물을 모두 회수처리 했다.
관리위의 한관계자는 “D등급 업소 가운데는 외부적인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례도 적지 않았다”며 “하지만 인증사업에 대해 비협조적이거나 의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D등급으로 분류했다”고 설명했다. 관리위는 이에 따라 등급별 사후관리 방안을 마련, 곧 착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A, B등급 업소에 대해서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C등급 업소의 경우 내년도에 재평가, 인증점 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한편 모든 인증점에 대해 고객만족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는 게 기본 골격이다.
관리위의 한 관계자는 “올해 중단됐던 신규 인증점 모집이 재개된다고 해도 인증점 숫자에 연연하지 않는다는게 원칙”이라며 “그만큼 고급화와 희소성, 후속관리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