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북 FMD발생 모두 백신접종 부실 확인 따라 자성 목소리 고조
효능 논란 무의미…“기본만이 살 길” 100% 백신 실현 공감대 확산
최근 FMD가 잇따라 발생한 경남북 양돈장 모두 백신접종 의무를 제대로 준수치 않은 사실이 방역당국에 의해 확인되면서 양돈농가들 사이에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본지 2828호 2면 참조>
그간 수준이하의 돼지 백신항체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역당국의 대책이 나올 때 마다 양돈현장에서는 “백신을 해도 항체가 오르지 않는다”며 백신효능 자체에 대한 의문과 함께 강한 반감을 표출해온 상황.
그러나 FMD 발생농장의 백신접종 실태가 드러나면서 이러한 양돈농가들의 주장은 설득력을 상실, 양돈업계 안팎에서 “입이 열 개라도 할말이 없게 됐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양돈현장에 대한 방역당국의 불신을 고착화, 일방통행식 방역대책을 자초하게 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FMD를 비롯한 해외악성전염병 발생시 양축농가에게 책임을 묻는 방향으로 방역정책을 강화, 축산업계의 우려를 사왔다. 최근에는 백신효능 논란을 빚어온 비육돈에 대해서도 항체율로 백신미접종에 따른 과태료 부과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을 확정, 양돈업계가 반발하기도 했다.
축산단체의 한 임원은 이에 대해 “FMD의 가장 큰 피해자라는 농가에서 정작 기본적으로 수행해야할 책임마저 외면했다. 더구나 백신접종이라는 법적의무를 위반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이러한 현실에서 정부에 어떤 요구를 할 수 있겠나, 한다고 해도 여론적 공감대를 기대하기 힘들 게 됐다”며 곤혹스러워 했다.
특히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육 발생 대책 요구도 당분간 힘을 받기 어렵게 됐다는 전망까지 나오며 양돈업계 내부적으로 도덕적 해이에 대한 비판과 자정의 목소리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백신접종에 접근하는 양돈현장의 시각에 급격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일단 모든 양돈농가가 백신접종에 동참, 기본적으로 양돈농가의 책임은 다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FMD 발생농장에서도 백신접종이 제대로 이뤄진 개체는 별다른 증상이 없었다는 사실은 이같은 추세를 더욱 공고히 하는 결정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양돈현장에서 활동하는 한 컨설턴트는 “이전까지는 과태료, 혹은 만약의 발생에 대비해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백신을 한다는 분위기가 적지 않았던게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지금은 FMD 차단을 위해 반드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는 시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 같다”며 현장의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수의전문가들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 수의전문가는 “굳이 지난 2011년 사태를 떠올리지 않아도 FMD는 축산업계의 재앙이다. 더구나 토착화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만큼 FMD 방역은 국내 축산업계 절대절명의 과제”라면서 “지금 국내 상황에서 FMD를 차단할수 있는 대안은 축산현장의 철저한 방역의식과 백신밖에 없다는 점에서 100% 백신접종은 반드시 실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다 백신효능에 대한 양돈현장의 불신 해소와 이상육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보다 전향적인 정부 차원의 대책도 뒤따라야 한다는게 이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