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농가 소 88%·돼지 81% 공급
소규모 농가는 소 85%·돼지 83%
농축산부, 혈청예찰로 접종여부 확인
최근 경북 의성·고령과 경남 합천에서 잇따라 FMD가 발생한 것과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FMD 백신공급률은 7월말 기준, 전국적으로 전업농가의 경우 소 88%, 돼지 81% 수준이며, 소규모 농가는 소 85%, 돼지 83%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업농 규모(사육두수 규모)는 소 50두 이상, 돼지 1천두 이상 규모이다.
농축산부에 따르면 전업농의 경우, 전국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소 및 돼지 1천1백34만여 두(소 216만, 돼지 918만)에 대해 1천1백48만여 두(소 232만, 돼지 916만) 분량의 FMD 백신이 공급되었고, 소규모 농가의 경우 사육 소 및 돼지 295만두에 대해 305만두 분량의 백신이 공급됐다는 것.
FMD 백신은 전업농가는 농협에서, 소규모 농가는 지자체에서 공급하고 있으며, 농축산부는 농협 및 지자체로부터 FMD 백신공급 세부실적으로 매월 주기적으로 보고 받고 있다.
또한 FMD 백신공급실적은 농축산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운영 중인 가축질병관리 데이터베이스인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을 통해 축종별, 지역별, 농가별로 관리되고 있다.
소, 돼지 등 사육농가에 대한 FMD 오염 여부 및 FMD 백신접종 실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농축산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2014년 FMD 혈청예찰’도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혈청예찰계획에 따라 FMD 야외바이러스가 축산농가에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비구조단백질 항체(NSP 항체)’ 검사 83천여 건, 축산농가의 구제역 백신접종 실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백신항체(SP 항체)’ 검사 89천여 건 등 총 172천여 건을 검사하고 있다.
농축산부는 1월~6월까지 NSP 항체검사 53천여건, SP 항체검사 48천여건을 완료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