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량기술 빠르게 진화
농가 서비스 만전 위해
전문성 강화 필수 요건
가축개량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기술이 급변하고 있어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과거처럼 축산법에 재명시해야 한다는 여론이 드높다.
(사)한국가축인공수정사협회(회장 김명호)는 지난 8일 오전 11시 서초동 제1축산회관에서 3/4분기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금년도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을 내달 21일과 28일 충남 예산군농업기술센터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각각 10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키로 했다. 이 인원은 문민정부가 들어서기 전 한해 실시인원 1천명 내외에 비해 20% 수준이다.
정부는 국내 가축개량사업을 추진하는데 첨병역할을 하고 있는 가축인공수정사의 자질향상으로 수태율을 향상시키고, 혈통등록을 통한 가축개량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가축인공수정사를 대상으로 한 보수교육을 매년 실시한다.
특히 온라인 계획교배 프로그램 활용도가 점점 높아지는데다 이를 통한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하여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했다. 만약 이수하지 않으면 정부가 지원혜택에서 제외하는 등 불이익을 줬다.
그런데 문민정부 들어 행정과 규제 간소화에 따라 축산법에 명시했던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도 이수치 않을 경우 제약을 준다는 내용을 빼버렸다.
이에 따라 지난 10여년 동안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을 꾸준히 받은 사람과 아닌 사람과의 최신기술과 정보의 수준차이는 하늘과 땅처럼 벌어졌다.
일례로 보수교육에 적극 참여한 가축인공수정사는 소의 개체별 혈통을 중시하여 가장 적합한 정액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적기에 수정시키는 등 농가서비스에 만전을 기한다.
강원도 정연기 지회장과 경기남부 최호선 지회장, 충남도 차상준 지회장은 “가축개량에 대한 최신정보와 기술이 한 달이 다르게 변하고 있어 신기술 터득은 절대적”이라면서 “그런데 최신계획교배일람표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인공수정사가 아직도 많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또 “보수교육은 최신 가축개량에 대한 정보와 인식이 낮은 지역이 절실한데 그들 지역이 오히려 회피하여 가축개량발전에 걸림돌”이라고 지적하고 “가축인공수정사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토록 축산법에 명시해야 옳다”고 강조했다.
가축인공수정사협회는 올해 정회원을 대상으로 E·T(수정란이식)교육도 실시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자원을 농가가 보유토록 하여 목장경영에 도움을 주기로 했다.
특히 E·T에 관한한 국내 최고 권위자인 국립 한경대학교 윤종택 교수를 비롯해 손동수 박사·박성재 박사·고웅규 박사 등 국립축산과학원 전현직 전문가를 총망라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E·T교육을 희망자는 오는 20일까지, 보수교육 희망자는 오는 30일까지 한국가축인공수정사협회 또는 도지회로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