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는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니다. 방목하고, 넓은 놀이터를 만들어주지 않아도 된다.
제 때 물을 주고, 날카로운 물건을 치워주는 것이 동물복지다. 아플 때 잘 치료해 주면 가축입장에서는 정말 고마워할 것이다. 축산현장에서는 이미 이러한 동물복지를 많이 실천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축산농장 동물복지 인증제를 마련해 동물복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산란계와 돼지농장에는 인증제가 시행되고 있고, 각각 60만 마리 산란계와 2천900마리 돼지들이 동물복지 기준 안에 들어와 있다.
현재는 육계분야 동물복지 기준 마무리작업이 한창이고, 내년에는 한우와 젖소도 포함된다.
이렇게 동물복지는 조금씩 또 하나의 축산 사육방식으로 뿌리를 내려가고 있다. 그럼에 불구하고, 축산현장에는 여전히 동물복지를 두고 “시기상조”라는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다. 당장은 생산성 향상에 포커스를 둬야한다는 거다.
또한 동물복지를 하게 되면 생산비만 크게 늘 것이라고 우려하는 시선이 많다.
물론 비용증가는 감당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물복지를 달리 생각할 필요가 있다. 동물복지는 오히려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단이 된다.
동물복지 산란계가 낳은 계란은 두배 이상 비싸도 없어서 못팔 정도로 인기라고 한다. 돼지농장에서는 질병이 줄고, 고기품질은 향상된다고 한다.
여론조사 결과, 대다수 소비자들은 좀 더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동물복지 축산물을 애용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동물복지는 개방화 시대에서 무역협상 조건이 되기도 한다. 동물복지를 계속 미루고 피할 것이 아니라 우리 축산업 경쟁력으로 삼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