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삐걱대는 돼지이력제, 순항할까

육가공업계 “준비 안돼있다”…생산자단체와는 마찰까지

이일호 기자  2014.11.05 10:44:32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축평원 ‘한돈팜스’ 연계 거부…한돈협 “납득 못해” 반발

 

돼지이력제가 본격 시행을 목전에 두고 삐걱되고 있다.
이미 이력제의 최종단계인 육가공업계가 “아직 준비가 안돼 있다” 며 공개적으로 충분한 유예기간을 요구하고 나선 상황. /본지 2849호(11월 4일자) 9면 참조.
여기에 양축현장의 별다른 이의제기 없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던 사육현황 신고방법을 놓고도 돼지이력제 위탁기관과 생산자단체간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대한한돈협회는 지난달 29일 한돈전산경영관리시스템인 ‘한돈팜스’ 의 연계 활용을 돼지이력제 위탁기관인 축산물품질평가원에 공식 요구했다.
양돈농가들이 돼지고기 이력제를 위한 사육정보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는 중복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다는게 한돈협회측의 입장.
하지만 축평원은 난색을 표출하고 있다. 한돈협회가 위탁기관이 아닐 뿐더러 한돈팜스의 양돈농가 가입률 역시 100%가 되지 않는 만큼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돈협회는 이에 대해 한돈팜스에 등록되지 않는 농가만 축평원 프로그램을 활용토록 할 경우 예산과 인력운용의 효율성면에서도 훨씬 더 유리하다며 재검토를 요구하는 등 좀처럼 물러서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정부 역시 한돈팜스를 통한 신고도 넓은 의미에서 전자적 신고방법에 해당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축평원이 굳이 거부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돈자조금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한돈팜스에는 현재 전국 양돈농가의 50% 수준인 2천800여 농가의 사육현황이 신고되고 있다. 이들의 사육두수는 모돈기준 74%에 해당하는 규모로 알려졌다.
육가공업계는 물론 생산자단체 마저 돼지이력제에 제동을 걸고 나섬에 따라 정부와 축평원 측은 이래저래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