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돼지개량네트워크 참여농장 확대 찬반논란

이일호 기자  2014.11.14 14:59:59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찬성론 - 중소농장도 혜택…종돈통일 가속화 기대
반대론 - 개량수행 능력 미달로 하향평준화 우려

 

정부의 돼지개량네트워크사업(이하 네트워크사업) 참여농장 확대 방침을 놓고 찬반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그 필요성에는 어느정도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접근 방법에 대해 종돈업계 내부에서 이견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종돈업경영인회(회장 오재곤)와 한국돼지유전자협회(회장 박현식)가 공동으로 개최한 2014년 종돈산업발전세미나 및 토론회에서는 이러한 종돈업계의 분위기가 그대로 드러났다.
세미나에 이어 ‘네트워크사업과 연계한 부계종돈통일 방안’을 주제로 이뤄진 이날 토론회에서 지정패널로 나선 오재곤 종돈업경영인회장은 네트워크 참여농장의 기준을 완화, 국내 순종돈 모돈수 기준 70~80%까지 확대하겠는 정부 계획을 적극 환영했다.
오재곤 회장은 “현재의 네트워크 사업 체계하에서는 중소종돈장들은 사실상 참여가 불가능하다”며 “이럴 경우 정부 사업에 따른 혜택은 일부 대형육종업체나 양돈계열화사업체에 국한될 수밖에 없다”며 그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참여농장을 1 ? 2군으로 구분, 기준을 달리하되 2군 농장에서도 1군농장에서 만들어진 우수유전자를 공급받아 비육돈농가에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2군 농장이라도 그 기준을 만족할 경우 1군 농장에 편입되도록 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했다.
오재곤 회장은 이를통해 더 많은 종돈장의 참여가 가능, 긍극적으로 국내 종돈통일의 가속화와 함께 비육돈 농가에 대해 네트워크사업 성과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았다.
또다른 지정패널인 다비육종 민동수 대표는 “참여농장의 확대가 자칫 네트워크사업의 취지를 벗어나 국내 종돈수준의 하향평준화를 가져올수 있다”며 “소규모든 중규모농가든, 개량수행능력을 갖춘 곳의 참여가 전제되지 않는 한 (네트워크사업은)쓰레기가 될수 도 있다”고 경고했다. 따라서 참여농장 확대에 앞서 국내 종돈장의 개량능력 및 위생도 제고노력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농축산부 조재성 사무관은 “각계의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내년 3월까지 세부적인 추진방향을 수정 보완, 국내 양돈업계 공동의 목표에 접근할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