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지연 사태 호소…사료공급 차질 우려도
한돈협, 행정지도 정부에 요구…피해 없어야
충청지역의 FMD 확산추세에 따른 정부의 이동제한 및 추가백신접종 방침이 내려지면서 양돈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동제한지역내 지정도축장의 도축거부로 인해 출하를 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지급률을 둘러싼 양돈농가와의 갈등에, 사료공급 차질도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생산자단체가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서는 등 양돈농가의 예상치 못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에 따르면 최근 FMD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양돈농가들의 애로사항 파악에 나선 결과 정부의 FMD 확산방지 긴급대책을 계기로 적잖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이동제한지역 돼지의 지정도축장에 대한 출하차질로 지목되고 있다.
해당 도축장으로 돼지가 몰리며 출하지연 현상이 심화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일부 도축장의 경우 특정지역 돼지에 대해서는 아예 도축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인해 22일 현재 충북 진천지역의 경우 50% 정도의 양돈농가가 출하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정도축장 출하에 따라 거래처가 달리지면서 지급률을 둘러싼 혼선도 불가피하게 됐다.
지정도축장 출하 정산시 새로운 거래처에서 지급률의 대폭적인 하향조정을 요구, 양돈농가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돈협회는 68~70%인 지급률이 이동제한지역내의 지정도축장 출하시엔 65%까지 하향적용되고 있는데다 일부에서는 60%까지 요구받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동제한지역내 사료공급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농가마다 이용하는 사료가 다르다보니 사료회사 마다 지정차량 공급을 기피하고 있다는게 한돈협회의 분석이다.
이와함께 정부의 백신추가접종 방침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과 물량부족 등의 이유로 농가에 대한 공급이 차질을 빚고 있다.
한돈협회는 이에따라 지정도축장에 대한 원활한 출하와 함께 적정 지급률 적용, 정상적인 사료공급 위한 정부차원의 행정지도를 요구했다.
아울러 백신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 대한 행정지원도 촉구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