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일 국장, “건강한 산업으로 거듭나도록 최선”
FMD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FMD는 돼지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PED라든가 PRRS, PMWS보다도 현저히 낮은 수준의 질병임에도 지나치게 과잉 대응을 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백신 접종을 하는 상황에서 필요 이상의 살처분, 이동제한을 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손실 뿐만 아니라 축산업에 대한 반감을 더욱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는 지난 26일 열린 축산정책포럼(회장 윤봉중· 축산신문회장, 이하 축정포럼)에서다.
이날 축정포럼에서 이오형 수의사는 FMD 백신 효능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농가가 적지 않은 점을 지적한 후 “특히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서도 백신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비율이 40% 넘어섰다”며 백신의 검정 및 사후평가 방법 개선을 요망했다.
주한수 교수(미네소타주립대학)는 “현재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은 맞춤형 자가백신인 만큼 자가백신 도입과 함께 서둘러 한국형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동수 다비육종 사장, 이범권 선진 사장, 이병모 LD팜 사장(전 한돈협회장) 등 직접 현장에서 돼지를 사육하는 이들은 정부에서 좀 더 현실성 있는 정책이 추진되었으면 한다며 현장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례들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특히 이날 참석자들은 “앞으로는 FMD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나친 대응 방법이 개선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이어 이천일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FMD, AI로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국민에게 다가가는 축산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소득 3만불 시대의 선진축산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이어 “이런 악성질병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정부내에서 코너로 몰리고 있다. 패널티를 줘야 한다는 의견 등 적지 않은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당근과 채찍을 통해 건강한 축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봉중 축정포럼 회장은 “축산업이 존재하는 한 질병도 함께 존재할 수 밖에 없다”면서도 “이번에 백신을 포함한 방역정책의 전반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