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젖소를 사육하는데 있어 생산비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곡물사료와 조사료의 해외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따라 국제경쟁력은 갈수록 약화되고 있지만 젖소개량사업에 꾸준하게 참여해온 농가들은 생산비를 낮춰 대외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특히 등록에서부터 심사·검정 등 젖소개량 3대사업에 적극 참여한 농가들은 선진국의 앞서가는 낙농가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국제경쟁력을 갖춰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지는 젖소 등록·심사사업과 젖소개량의 꽃 격인 검정사업을 면밀하게 분석해 보았다. 또 수입에 의존해왔던 젖소유전인자를 이제는 해외로 수출하기까지의 성과를 꼼꼼히 진단해 봤다. 아울러 축산연구기관과 단체·업계에서 젖소개량사업을 이끌고 있는 전문가를 초청하여 간담회를 열어 문제점을 짚어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편집자 주>
젖소 등록사업
등록은 젖소개량 기본사업, 첫 단추 잘 끼워야
경제성 낮으면 도태 높으면 우군관리 잣대
등록은 유전능력 향상 아닌 기록 남기는 일
송아지 출생 직후 조기등록농가 급증 추세
젖소개량사업의 3대 요소 가운데 기본은 혈통확인을 위한 등록이다. 이 등록이란 개체별 생년월일을 알고 조상의 기록을 등록증에 공인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혈통등록은 정확해야 하며 이 기록은 개량상의 자료로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등록을 했다고 하여 그 소 자체의 유전적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 아니고 가축의 능력 제고를 위한 자료로서 기록을 남겨두는 것으로서 이점은 낙농가들이 충분히 납득을 해야 옳다.
따라서 젖소등록을 하는 농가들은 혈통의 기록에서부터 시작하여 능력과 체형·자질·번식 등을 기록하여 경제성이 낮은 개체가 생산될 가능성을 제거하면서 안전하게 표현형의 제일성을 높여 우군을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젖소의 등록사업은 젖소에게서 인류가 경제성을 요구하는 한 영원히 계속되어야 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비와 노력 그리고 전문적인 경험이 요구된다.
젖소등록사업은 1969년 한국종축개량협회가 창립되어 업무를 시작하여 농가를 지도하고 계도하여 참여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1990년도에는 전북도에서 젖소 5천두를 대상으로 등록·심사를 실시하고 도비와 시군비로 정액을 무상공급하여 후대축 개량에 역점을 두었다. 이듬해는 경북도에서 1천두를, 전남도에서 3천두를 각각 실시하였고, 1992년에는 강원도에서 7천500두를 등록할 수 있는 기반을 확립하면서 등록사업은 날로 활기를 띠고 있다.
1966년부터 1985년까지 약 20년 동안 14만2천473두(고등 240·혈통 4만9천998·본 2천955·기초 8만9천280)였던 젖소 등록두수는 1991년 한해에만 1만5천882두로 늘어났다.
특히 90년대 초반 UR와 WTO에 이어 21세기에는 FTA 등 개방의 파고가 점점 가속화되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낙농가들과 일부 일선지자체에서 등록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1996년 2만4천518두였던 젖소등록두수는 2001년 7만953두·2009년 7만2천205두로 증가했다.
또 2012년 5만7천785두였던 등록두수가 2014년 기초 1만267두·혈통 4만7천915두 등 모두 5만8천182두로 소폭 늘었으나 FMD 여파를 감안하면 많은 두수<표1 참조>다.
또한 등록시 월령은 2014년 10.5개월로 2012년 13.3개월 보다 2.8개월이나 감소하여 송아지를 낳자마자 등록하는 농가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젖소 심사사업
젖소의 장수성·능력 향상은 심사가 관건
개체별 키·강건성·체심 등 24개 형질 심사
작년 1천947호 참여, 젖소 5만3천431두 실시
등급형질별 평균 점수 78.2점 선진국 수준
선형심사를 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우유생산에 영향을 주는 기능적 체형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그 후대의 체형을 개량하여 감으로써 생애산유량을 늘리자는 것이다. 이는 기능적 체형형질이 유전력은 그렇게 높지 않으나 유전이 된다는 사실에 바탕을 주고 있다.
젖소의 기능적 체형 가운데 생애산유량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형질을 1차 형질(키·강건성·체심·예각성·엉덩이 경사·엉덩이 길이·엉덩이너비·옆에서 본 뒷다리·발굽각도·앞 유방 부착·뒷 유방 부착높이·뒷 유방의 너비·정중제인대·유방의 깊이·유두 위치)이 있다. 또 이보다 적은 2차 형질(몸의 균형과 어깨·등허리·꼬리의 위치·외음부 각도 등)로 각각 구분하여 실시한다.
이처럼 심사대상우의 주요 체형형질 24개 부위를 심사표준에 의거하여 심사를 실시하고 개체별 체형의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개량된 후대축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한다.
체형개량을 통한 연산성·생산성·장수성을 겸비한 기능적인 젖소를 우군화하여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으로 심사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두수가 증가추세다.
<표2>에서 보는바와 같이 2014년 1천947 심사농가에서 보유한 젖소 가운데 심사두수는 5만3천431두로 계획목표 (5만1천20두)대비 4.7% 초과 달성했다. 이 성적은 전년대비 1.2%(643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이뤄진 평균 젖소심사성적은 2010년 76.9점에서 2011년 77.8점·2012년 78.0점·2013년 78.0점·2014년 78.2점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산차별 심사현황은 초산(2만2천898두)과 2산(1만4천416두)에서 도합 69.9%로 가장 많이 이뤄졌다. 평균 최종점수는 6산 이상에서 80.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초산과 2산에서는 각각 76.9점과 78.5점으로 전년보다 각각 0.2점과 0.3점 증가했다.
등급형질별 평균 심사성적은 전년대비 엉덩이 78.4점(0.2점↑), 유방 78.4점(0.3점↑), 지제 77.7점(0.4점↑), 유용강건성 78.2점(0.1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전체 심사우 가운데 결점형질이 발현된 개체는 전체 5만3천394두 가운데 4천832두(9.1%)에서 5천486건의 결점형질이 나타났다. 가장 많이 조사된 결점형질로는 UQ(분방불균형)로 1천865건(34.0%)이 나타났고, 그 다음은 HT(솟은 미근)과 TT(경사), QB(폐분방) 순으로 조사됐다.
유우군능력검정사업
암소 능력평가 개량 촉진…고능력 유전자원 자립 토대 조성
유량 유질·번식성적 개선…생산성 향상·소득 증대 기여
30년 새 검정참여율 21배·호당 검정두수 7배 이상 늘어
’09년부터 검정보조금 지급 기준 강화…혈통률 높이는 계기
성적 분석·실시간 정보 제공 등 서비스 향상…개량 큰 도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