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FMD, 돼지열병 처럼 접근해 보자”

박멸대책위서 발생상황 따른 단계별 탄력 대응 필요성 공감

이일호 기자  2015.05.08 09:47:2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일각선 득보다 실 우려도

 

FMD 방역정책은 발생상황에 따른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열린 대한한돈협회의 돼지FMD·돼지열병박멸대책위원회 기술·조사 소위원회에서다.
한돈협회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FMD 방역정책 및 SOP 개선 대책 초안’이 집중 검토된 이날 회의에서는 FMD를 현행 1종 전염병에서 3종 전염병으로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찬반이 엇갈렸다.
사실상 통제 불능 상황인데다 재발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감안할 때, 발생할 때마다 살처분이 이뤄지는 획일적인 방역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과 국가방역을 포기하는 것인 만큼 ‘득’ 보다 ‘실’ 이 클수 있다는 입장이 맞선 것이다.
다만 위험도에 관계없이 양축현장의 발생 추이에 따른 탄력적인 방역정책이 절실하다는 데는 의견이 모아졌다.
돼지열병과 마찬가지로 상재화-안정화-청정화 등 각 단계별로 방역정책을 세분화, 발생상황에 적합한 정책이 시행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FMD 방역체계가 전환된다고 해도 청정화를 서둘러서는 안된다는 공감대도 형성됐다.
한 수의전문가는 “솔직히 청정화에 따른 경제적 이익 보다는 청정화 이후 재발에 따른 손실이 더 클 수밖에 없다”며 “최종 목표가 돼야하지만 굳이 목메일 필요는 없지 않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돈협회는 이날 제기된 내용을 토대로 ‘FMD 방역정책 및 SOP 개선방안’ 을 확정, 정부에 공식 요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