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종돈장 혈연교류 기피…목표치 크게 밑돌아
동결정액 도입 차질도 원인…후속관리 대폭 강화
정부지원하에 이뤄지고 있는 돼지개량네트워크구축사업(이하 종돈네트워크)에 제동이 걸렸다.
국가단위 유전능력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우량종돈선발과 교류, 평가를 통해 국내 여건에 맞는 한국형 종돈개량, 나아가 수출까지 지향하기 위해서는 혈연교류가 핵심.
하지만 부계와는 달리 모계의 혈연교류 실적이 극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추진위원회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부계 뿐 만 아니라 모계까지 영역을 넓힌다는 계획아래 2012년 모계 참여종돈장 선정과 함께 동결정액 형태로 해외우수유전자원의 도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동결정액의 도입이 지연되면서 이듬해인 2013년에 첫 수입이 이뤄진데다 지난해 예정 물량 가운데 일부도 이달말 경에나 들어올 전망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참여종돈장들이 혈연교류 자체를 기피하고 있다는 점이다.
모계의 경우 부계와는 달리 돈군 사이즈가 큰데다 각 농장들의 근간을 이뤄왔던 종돈의 수입라인이 천차만별이다 보니 네트워크의 혈연교류 과정에서 다른 계통의 유전자가 섞일 경우 자칫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돈군은 약 3천800여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10%에 대해 의무적으로 혈연교류가 이뤄져야 하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2회전을 기준한다고 해도 매년 1천520도스(760복분)의 동결정액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동결정액이 처음 수입된 지난 2013년엔 624도스, 2014년에는 738도스에 불과하다. 필요량의 절반밖에 수입이 안된데다 그나마도 다 활용치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전해졌다.
당초 생축이 아닌 동결정액의 활용이 결정된 것도 혈연교류에 따른 추이를 지켜봐가면서 그 대상물량을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는 보관성이 확보돼야 한다는 참여종돈장들의 요구가 한가지 배경이 된 것을 감안하면 그 실적이 극히 부진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우수한 해외유전자 도입이 필수임에도 동결정액에 대해서는 별다른 기준 없이 임의적인 판단에 따라 제품이 결정돼 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논란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치 못하는 실정이다.
다만 이같은 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올해 네트워크 참여종돈장이 대폭 늘어난 상황에서 인센티브를 확대하되 의무사항 미이행시 자격박탈 등 강력한 후속조치가 내려지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모계참여종돈장들의 혈연교류가 대폭 활성화될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