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출하물량 증가·할인판매 등 대책 제시
사육두수 부족…조기출하 현실적 기대 못해
“할인판매 이후 가격 상승도 대비해야” 지적
한우가격 안정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내놓은 수급안정 대책이 단기적인 실효성을 보이기는 힘들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수급조절협의회를 통해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한우가격 안정화를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한우 최대 성수기인 추석을 앞두고 도매가격 상승 억제 및 소비자가격 인하를 추진한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를 위해 우선 추석 이전까지 수도권 3개 시장을 풀가동하고 출하물량을 10%가량 늘려 도매가격 안정화에 나서는 한편 자조금을 활용해 한우를 시중가격보다 할인해 판매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한우 사육두수가 워낙 적어 조기출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위기다.
한우가격의 상승세가 일정기간 유지되다보니 이미 출하시기를 앞당겨 출하한 거세우가 많아 더 이상의 조기출하 물량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할인판매의 경우도 명절소비 감소를 막을 수 있는 임시방편일 순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2일 전국한우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한우수급조절협의회 실무추진단 4차 회의에서 회의 참석자들은 할인판매와 관련해 “일시적으로 소비급감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순 있지만 추후 한우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며 할인판매 이후의 상황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농촌경제연구원은 출하물량 감소 등으로 추석 전까지 산지가격이 상승한 후 안정될 전망이며 사육마릿수의 경우 올해 12월경 264만두로 평년수준을 회복한 뒤 2017년 이후 증가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