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질병·분뇨·유통문제 해결
세계 식량무기화 대비 주문도
홍문표 의원(새누리당 사무부총장, 충남 홍성·예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이 축산의 중요성을 또 다시 강조하고 나섰다.
홍 의원은 기회 있을 때마다 농정의 중심이 축산으로 옮겨가야 한다며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현 농정은 과거 농업의 개념에 맞춘 것으로 현실성이 결여된 측면이 없지 않다며 변화된 현실에 맞게 조직과 예산을 늘려야 함을 거듭 강조했다.
홍 의원은 지난 8월 27일 열린 축정포럼(회장 윤봉중·축산신문회장)에 참석, 이같이 강조하고, 국내 축산업이 경쟁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료, 분뇨, 질병, 유통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안 된다며 이 4가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중 사료문제 해결 방안의 일환으로 간척지를 활용한 조사료 재배를 꼽고 자급률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질병을 막는데는 1차적으로 백신이 중요한 만큼 국내 백신을 개발해야 함도 강조했다.
유통 문제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5, 6단계의 유통과정을 3단계로 축소시켜야 함을 들었다.
홍 의원은 유럽 등을 방문한 느낌을 말하면서 실제로 유럽에서는 식량을 무기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창고기술을 발달시켜서라도 식량을 많이 갖고 있는 나라가 강국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세계의 식량 패턴이 바뀌고 있다. 이제는 식량이 생명산업의 차원을 넘어 무기산업이 됐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도 이에 대비해 농정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에 앞서 이준원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우리 농업의 위기는 FTA니 김영란법이 아니라 국민들이 농축산업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이다. 농축산업을 위해 세금을 내겠다는 국민이 50%에서 더 낮아져 지금은 30%만 지지하겠다고 한다”며 국민들이 우리 농축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축정포럼 회원들은 그동안 정책적· 제도적으로 해결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 하나하나 건의했다. 이 가운데는 국세인 축산소득세를 지방세인 농업소득세로 전환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축산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가축사육제한구역이 지자체마다 달라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 동물약품 수출지원금 이자를 낮춰야 한다는 의견, GP센터가 서비스업종으로 분류되다보니 외국인 근로자 고용문제가 있다는 의견, 무역이득공유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 통일시대에 대비한 휴전선에 축산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 등 다양한 의견 개진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