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축산사업 실행동력 미비…헛구호 우려

농식품부, 올해 ‘6차산업화’ ‘수출’ 방점…대통령 업무보고지난

김영길 기자  2016.01.20 10:52:24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6차 산업화와 수출을 통해 농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14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경제부처 합동 업무보고에서 ‘농업 6차 산업화’와 ‘수출’을 올해 핵심 정책방향으로 꺼내들었다.
이날 농식품부는 올해 탄탄한 농산물 생산기반을 바탕으로 가공, 유통·수출, 관광 등을 연계한 지역단위 6차산업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보고했다. 아울러 농식품 수출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 방안으로는 내년까지 스마트 축사 보급을 전업농 10%(730호)로 확대하는 등 농산물 생산을 첨단화·전문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또한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 공영홈쇼핑 지역특화 상품 전용시간대 설정 등 신유통 경로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승마체험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해 관관상품으로 활용키로 했다.
수출과 관련해서는 대중국 수출 유망품목(10개)을 발굴하고, 중국 내 물류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시장개척에 힘쓸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도축·도계장 생산기반과 인증지원 등을 통해 할랄식품 수출 11억달러(지난해 대비 31% 증가)를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현지 기호에 맞는 제품개발 등 기존 일본·아세아 주력 시장 회복에 나선다고 피력했다.
그 업무추진 방식으로는 분야별 전문경영체 발굴해 품목별·단계별 맞춤형 교육 등을 실시하고, 모태펀드 등 농업 외부 자본 유입을 촉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이날 업무보고에서 이렇게 ‘6차 산업화’와 ‘수출’이라는 농식품부 정책 방향을 밝힌 것은 농식품 분야 미래가치를 제공했다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축산업 일각에서는 이를 실현할 축산업 예산과 조직은 현실적으로 턱없이 미비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채워주는 노력도 병행됐으면 한다고 제기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축산업은 생산액면에서 농업전체 중 40%를 차지한다. 하지만 예산은 10%에 불과하다. 조직 역시 농림축산식품부로 명칭이 변경됐지만, 조직 확대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번 업무보고에서 축산업 활성화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실질 대책방안이 다뤄지지 않은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