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1. 끊이지 않는 질병
2. 한우농가 수 감소
3. 부정적 여론 확산
한우가격이 연일 고공행진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우농가들의 시름은 깊어가고 있다. 연일 이어지는 한우에 대한 부정적인 보도로 소비 위축이 우려되고 있으며 각종 질병 문제는 여전히 한우업계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설상가상으로 자급률 하락과 농장의 대형화가 맞물리며 농가수도 9만호가 붕괴됐다. 위기에 처한 한우산업, 그 해법은 없을까. 이에 본지에서는 현재 한우산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업계에서 생각하는 해결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제역에 이동제한ㆍ수출 금지 등 피해 확산
결핵ㆍ브루셀라, 한우업계 골칫거리 자리매김
검사증명 의무휴대 추진…감염개체 조기 색출
최근 전북의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재발한 것은 한우업계에도 적지않은 타격을 입혔다.
비록 한우농장에서 직접 발생한 질병은 아니지만 전북지역 농가들은 이동제한으로 출하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예정되어있던 전북지역 한우의 수출도 중단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수의업계는 구제역의 원인을 분석하고 백신접종 강화 등 대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구제역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소 bTB(결핵)과 브루셀라도 마찬가지다.
소의 외관이나 임상증상으로 발견하기 어려워 알게 모르게 농가들에게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기 때문이다.
검사증명서 휴대가 의무화 되어 있는 브루셀라의 경우는 그나마 낫다. 하지만 bTB의 경우 지금까지 체혈에 대한 인력 및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검사증명서 휴대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아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에도 감염여부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bTB는 지난 2013년 2천506두, 2014년 4천109두가 발생했을 정도로 피해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한우업계는 bTB도 브루셀라와 같이 검사증명 의무화를 추진 중에 있다.
한우협회는 농림축산식품부에 검사증명 의무화 도입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으며 농식품부도 ‘결핵병 및 브루셀라병 고시’ 개정작업에 들어갔다.
올해 상반기 내에는 검사증명 의무화가 전격 실시될 전망.
그동안 검사증명 의무화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예산 문제가 발목을 잡았었다. 수의사들의 인건비는 물론 감염된 개체의 살처분이 최우선인 bTB의 특성상 살처분 보상금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 농식품부에서 17억8천만원의 검진 예산을 책정하는 등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우농가와 관련 기관들은 검사증명 의무화 확대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