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농경연, 축산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보니

“축산은 식량산업”…국민 대다수 긍정인식

김영길 기자  2016.02.05 11:20:47

기사프린트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응답자 62% “핵심 영양분 공급·농촌유지·식량안보 순기능”
부정인식 14% “냄새·환경문제 유발·부정유통 피해 우려”
과반수 “우리 축산물, 수입산보다 10~30% 더 지불 의향”

 

우리나라 국민은 축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필수영양분 제공, 농업·농촌 유지, 식량안보 등을 꼽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지난해 11월 3~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홈페이지 회원 432명, 한국농업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조사패널 476명 등 총 908명을 대상으로 축산업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국민들은 축산업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62.1%는 ‘긍정적인 측면이 크다’, 14.4%는 ‘부정적인 측면이 크다’, 23.5%는 ‘비슷하다’고 답했다.
응답자 주변 또는 사회에서 축산업 인식 정도 역시 ‘긍정적 측면이 크다’에 49.8%, ‘부정적인 측면이 크다’ 20.8%, ‘비슷하다’ 29.4%로 긍정적인 인식에 손을 들어줬다.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복수응답을 허용한 질문에서는 ‘동물성 단백질 등 필수영양분 제공’, ‘농업·농촌을 유지하는 역할’, ‘식량안보를 유지하는 역할’ 등을 많이 선택했다.
반면 부정적인 부문에서는 ‘환경문제 발생(수질·대기오염, 악취 등), 동물질병 발생(구제역, AI 등), 부정유통행위(둔갑판매, 원산지 위반 등) 등이 많았다.
축산물 품질 요소 중 가장 중요한 2가지로는 ‘안전성(중금속, 독소 등)’과 ‘영양(단백질, 비타민, 지방 등)을 꼽았다.
이 안전성과 영양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 축산물 경쟁력을 두고 응답자들은 신선 축산물의 경우 수입산보다 품질이 더 좋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유가공품과 육가공품에 대해서는 ‘품질이 낮다’가 ‘비슷하다’ 의견 다음으로 많이 제시돼 품질경쟁력 확보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가격경쟁력에서는 ‘비싸다’ 응답이 62.2%, ‘매우 비싸다’ 23.3%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 수입축산물과 비교해 최대 몇% 더 지불할 의향이 있가는 물었더니 절반 이상이 10~30%라고 답했다.
축산물 인증제도 인식과 관련해서 HACCP, 무항생제, 유기 인증제도는 ‘어느정도 알고 있다’를 선택했지만, 동물복지 인증은 ‘잘 모른다’가 가장 많았다.
축산물을 구매할 때 인증표시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는 ‘영향이 있다’ 74.7%, ‘영향이 없다’ 25.3% 답했다.
현재 거주 중인 지역 또는 여행 중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악취, 소음, 수질오염 등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5.7%가 ‘있다’를 찍었다.
심각성 정도에 대해서는 ‘심각하다’ 의견이 83.7%, 친환경 축산 실천 필요성에는 ‘필요하다’ 97.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지생태축산 활성화 필요성과 정부 예산 지원 필요성에는 각각 90.1%, 83.7%를 선택했다.
축산물 수급안정과 관련, 각 품목별 자급률에 대해서는 쇠고기 자급률에 ‘낮다’, 다른 품목들은 ‘높다’를 제시했다.
축산물 수급 불안에는 대부분 ‘예’를 꼽았다.
6차산업 체험(방목지 휴양, 치즈만들기 체험, 건초주기 등)을 해본 적이 있는 지에 대해 50.1%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경험자의 만족도는 ‘만족한다(매우 만족 포함)’가 65.6%에 달했다.
만족의 가장 큰 이유로는 ‘가족단위 체험 가능성’ 52.1%, ‘연계된 문화체험 프로그램’ 19.7%였다.
불만족 이유에는 ‘접근성’ 30.5%, ‘프로그램 구성’ 27.0%, ‘비용’ 24.0%로 나왔다.
미래 축산업이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지속되기 위해 추진할 정책으로는 ‘가축 방역 체계 강화를 통한 가축질병 차단’, ‘안전 축산물 공급’, ‘축산물 유통과정 투명화’, ‘축산물 가격 및  품질경쟁력 제고’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2014년 11월에 실시한 인식조사와 비교해 축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37.8%→62.1%)과 부정적 인식(7.6%→14.4%)이 모두 두배 가량 증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