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부담 수입산과 품질경쟁 어려워
최근 가격 폭락…돈가 전체 악영향 우려
돼지부산물 시장에서 국내산의 입지를 확대할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돈조합장들은 지난 18일 전국양돈조합장협의회에 이어 개최된 한돈산업 발전을 위한 간담회<사진>에서 이같이 한 목소리를 냈다.
이천일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국장과 김태환 농협축산경제대표, 이병규 대한한돈협회장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에서 이영규 양돈조합장협의회장은 “국내 부산물시장의 80%를 수입산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 최근에는 국산 부산물가격이 폭락하고 있다. 일부지역은 절반수준까지 내려앉은 실정”이라며 “수입부산물 수준의 품질을 갖춘 국산 제품 생산을 위한 가공시설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김성진 제주양돈조합장도 “이미 바닥세의 가격이 형성돼 있는데도 얼마전 부산물사업자가 가격을 대폭 내려줄 것을 요구해 왔다”며 “수입부산물의 경우 판매점에서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가공돼 있다. 하지만 국내산은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그 수준에 달하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임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부산물가격이 전체 돼지가격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주목,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천일 국장은 이에 대해 “이력제와 연계해 부산물처리장 지원이 가능한지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 국장은 이어 협동조합형 패커화를 위한 정부의 관심과 함께 구체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양돈조합장들의 요청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 보겠다. 협동조합도 국내 도축장의 모델이 될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김태환 대표는 패커화를 위한 도축 가공시설 세팅시 조합간 교류를 통해 일종의 ‘표준화’가 실현될 경우 적잖은 파급효과를 기대할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 양돈조합들이 공감하기도 했다.
이병규 회장은 냉장육을 앞세운 수입돼지고기의 파상공세 추세에 우려를 감추지 못하며 검역강화와 함께 이력제 적용도 필요하다고 주장.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