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업계에 짙게 드리워진 먹구름이 걷힐 기미를 보이지 않자, 수급안정을 위한 자구책으로 업계가 스스로 발 벗고 나섰다.
한국오리협회(회장 김병은)는 지난 12일 개최된 ‘제1회 오리 수급조절 협의회’에서 수급조절을 위한 종오리 감축대책을 의결하고, 농식품부 승인을 거쳐 2월 말까지 종오리 감축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종오리 감축 기준은 업체별로 보유하고 있는 25주령에서 75주령 산란 종오리 중 18%에 해당하는 마리수(약 6만7천수)와 71주령 이상 모든 종오리(약 3만4천수)를 의무적으로 도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번에 감축되는 산란종오리는 대부분 폐기처리될 것으로 예상되며, 도태 보조금은 농식품부 및 자조금과 협의를 거쳐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오리협회 관계자는 “산란종오리 총 10만1천수를 도태함으로써 약 1천만수 이상의 육용오리가 감축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오리 도압실적은 약 7천1백만수로 전년대비(5천1백만수) 4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가 뒷받침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급과잉이 일어나 오리시세는 18일 기준 3kg당 5천원대로 내리치고 있다.
한편, 수급조절협의회에서는 오리수급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질병에 취약해 AI의 발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F1오리에 대한 강력한 조치 (단속, 종오리업 허가취소, 관련법 개정 등)를 정부에 건의했다. 이에 정부에서는 오는 3월 중 농식품부와 지자체, 오리협회 공동으로 전국 종오리 사육농가를 대상으로 축산법, 가축전염병예방법, 가축분뇨법 등 관련법령 위반 여부를 확인해 F1오리 집중 단속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