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가 최근 발표한 ‘2019 낙농경영실태조사’에 따르면 표본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목장의 규모가 클수록 후계자 확보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생산량과 후계자 유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500L와 500∼1천L의 소규모경영 농가들에게서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는 비율이 각각 56.6%와 37.4%로 높게 나타난 것이다.
반면,

연령대별로도 후계자 보유율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70대 이상 낙농가 중 66.7%, 60대에서 45.6%가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해 목장주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은 후계자 보유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40대와 50대에게서 ‘후계자는 없으나, 육성계획은 있다’고 각각 30.0%, 31.3%가 응답해 고연령 농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고 응답한 비중이 경북(31.8%), 경남(31.8%)으로 집중돼 경상도의 경우 향후 후계자 부족에 따른 폐업가능성이 타 지역에 비해 높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후계자의 유무와 관련해 농가들은 후계자가 있다(32.9%), 아직은 없으나, 육성계획은 있다(24.8%),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26.6%)고 응답해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한 농가의 비율이 지난해보다 5.7%p 감소했다.
이에 낙농산업을 둘러싼 현안 중 낙농가의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낙농부문에 대한 신규진입 또한 사실상 어려운 만큼 향후 낙농의 후계자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