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농가 “유지율 비슷한 일본, 사료비 증가율 현격한 격차”
사료가격 안정화 미온적 정부 대응 지적…근본대책 촉구
유량·유지방 중심의 가격결정구조 때문에 원유가격이 상승했다는 주장에 대해 낙농가단체가 반박하고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0월 12일 개최된 낙농산업발전위원회 2차 회의에서 쿼터제와 유지방에 부여되는 높은 인센티브로 낙농가들이 고품질의 사료를 선호하다 보니 생산비가 증가하고 결국 연동제로 인해 원유가격이 상승하게 됐다고 문제점을 제기했다. 이어, 생산비 절감 방안 중 하나로 사료적정투입과 산차증가 유도를 위한 가격구조개편 세부내용을 다음 회의에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낙농가단체는 공동보도자료를 통해 농식품부의 제시안은 젖소생리와 사양관리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유지율 향상을 위해 사료급여를 하면 두당산유량도 같이 올라가기 때문에 무작정 생산비가 증가한다는 논리는 맞지 않다는 것.
특히, 착유우의 경우 양질의 조사료를 적정하게 급여하지 않을 시 에너지 보충 및 영양소 공급, 반추위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음용유용 기준, 유가 산정 시 유지율 3.5%로 환산하여 생산비 등을 참고하는 일본의 평균 유지율은 2019년 기준 3.93%로 우리나라 평균 3.96%와 크게 차이가 없다며, 농식품부의 주장대로 우리나라가 고지방 사양체계인지 의문이라고지적했다.
또한 FTA로 인한 유제품 수입증가와 학령인구 감소로 음용유 소비감소에 따라 유업체가 관리하는 쿼터는 매년 삭감되어 왔기 때문에 높은 원유가격을 받아 낙농가들이 생산비를 줄이지 않는다는 논리는 현장을 모르는 탁상공론이라고 덧붙였다.
오히려, 낙농가단체는 생산비 절감을 위해서는 생산비의 55%를 차지하는 사료비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료비는 지난 20년간 87.32%가 폭등한 것에 비해 일본은 37.36%가 상승했는데, 비슷한 유지율 성적에도 불구하고 사료비증가율이 크게 차이나는 이유는 일본과 같은 배합사료 가격 안정제도와 사료곡물 비축제도, 해외 사료자원 개발 등이 마련되지 않은 탓이라는 것.
이승호 회장은 “낙농가는 배정된 쿼터 내에서 유지율은 유지하면서 두당산유량은 계속 증가시켜 생산성 향상을 통한 생산비 절감 노력을 다해 왔다”며 “일본과 같이 우유의 생산기반 유지를 위해 생산자 중심의 낙농제도와 가공원료유 지원제도 그리고 사료가격 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