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심각한 가뭄에 대응해 영농기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11월부터 평년 대비 저수율이 부족한 저수지를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간이 펌프 설치와 인근 하천 양수를 통해 농수로로 직접 용수를 공급하는 등 현장 대응을 이어왔다.
그 결과, 6월 말까지 127개 저수지에서 5천400만 톤의 물을 확보해 모내기 용수로 공급했고, 8월 말까지 65개소에서 700만 톤 이상을 추가 확보해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여기에 전국 누적 강수량이 960.1mm(평년 대비 87.9%)를 기록하면서 평균 저수율도 65.9%(평년 대비 96.9%)로 유지돼, 대부분 지역 영농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강릉을 비롯한 영동지역은 누적 강수량이 평년의 46.9%에 불과한 497.4mm에 머물렀고, 저수율도 28.0%(평년 대비 36.6%) 수준에 그쳐 심각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이 지역에 하천 굴착, 관로 매설, 간이 양수기 설치 등을 통해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오봉저수지 수혜 지역에는 간이 펌프 13개소를 설치해 하루 최대 3만7천500톤을 공급 중이다.
현재 공사는 가뭄 단계별 관리 기준에 따라 평년 대비 저수율이 70% 이하인 660개 저수지를 별도 관리 중이다. 이 가운데 316개소는 관심 단계(70% 이하~60% 초과)로 상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의 단계(60% 이하) 이상 344개소는 보조·주수원 시설을 통해 보완 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저수율이 0인 34개소 중 30개소는 용도폐지 대상이고, 나머지 4개소는 개보수와 준설 공사와 동시에 별도 급수 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김인중 사장은 “가뭄 속에서도 농업인들이 영농을 이어갈 수 있도록 모든 가용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도 농식품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안정적인 농업용수 이용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